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프랑수아 페늘롱의 신비사상

이용수 55

영문명
François Fénelon’s Mysticism
발행기관
신학과사상학회
저자명
전영준(Jeon Yeong joon)
간행물 정보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가톨릭신학과사상 제63호, 274~312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6.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6세기 종교 개혁을 기점으로 과거 교회 안에 존재했던 하느님의 은총과 인간의 자유 의지와의 역할과 관계에 대한 논쟁이 재 점화되면서, 17세기, 특히 프랑스에서는 하느님의 은총의 역할을 더욱 중요시하고 강조한 것은 유사하지만 실생활 안에서 적용하는 방향에서는 전혀 다른 방법을 모색한 얀센주의와 정적주의가 만연하였다. 그중 신비 체험과 관계가 깊은 정적주의는 몰리노스에 의해 이탈리아와 스페인에 퍼졌고, 프랑스에서는 귀용 부인이 그 대표적 인물로 여겨진다. 귀용 부인을 통해 이성을 사용하지 않고 인간 영혼을 고요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하느님께 나아가는 기도 방법을 배우게 된 페늘롱은 귀용 부인을 단죄하려고 했던 보쉬에와 얽혀서 심한 논쟁을 벌이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페늘롱은 교황 인노첸시오 12세로부터 단죄되었다. 페늘롱은 단순 순응의 기도를 드리기 위해서는 인간 영혼이 가장 순수한 사랑의 단계에 다다라야 한다고 이야기하였다. 그리고 이 순수한 사랑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정적주의자들의 주장과 유사하게 인간 내면을 완전히 비워야 한다고 가르쳤다. 오늘날 많은 학자들은 그를 신랄하게 비판하지만, 한편으로 일부 학자들은 긍정적인 시각들을 쏟아 내고 있는 분위기다. 다만 우리가 주의해야 할 것은 하느님과의 합일을 간절히 원하는 마음이 과한 나머지 어떠한 수덕이나 노력 없이 바로 합일의 상태에 다다르려 하는 급한 마음이다. 이런 편의적 경향은 특히 오늘날의 바쁜 현대 사회에 호소력이 클 것이므로 필히 경계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t began again to argue about the relationship and the role between the grace of God and the will of men after the Reformation in the 16th century. The dispute on grace has been continuing from the ancient age. In the 17th century, there were two heresies of the grace, namely Jansenism and Quietism, which were similar to emphasize more on the role of God’s grace for the salvation of human being in France. Two of them, however, headed towards different ways to adapt themselves to routine life. Especially Quietism, related to Mysticism was spreaded by Molinos in Spain and strongly influenced by Madame Guyon in France. Francois Fenelon learned the new way to pray without reasoning in quiet state from Madame Guyon who was condemned by Bossuet. Fenelon opposed and argued Jacques Benigne Bossuet, defending Madame Guyon from him. In the result however, the Pope Innocent ? condemned some parts of Fenelon’s writings, because Fenelon was suspected of Quietism, too. Fenelon taught that a soul could unite with God through the state of pure love in which a soul was indifferent to perfection and sanctification and in that pure love, human being couldn’t experience any kinds of desire for eternal salvation. However, some scholars today evaluate Fe´nelon positively, while the others still criticize him. Only we have to remember that it needs enough time to practice the virtues for those who want to desire a union with God. Quietism could give bad influence on our sanctification. Quietism for example, makes it possible for us to be lazy on the union with God due to that it tends to unite directly with God skipping over the stage to practice a virtue. We, therefore, have to keep strict watch against the indifference to loose our concentration to distinguish between our legitimate heritage of the faith and the heresy in our world and time.

목차

머리말
1. 사상적 흐름
2. 페늘롱의 신비사상
3. 상반된 평가
맺음말
[참고 문헌]
국문 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영준(Jeon Yeong joon). (2009).프랑수아 페늘롱의 신비사상.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63), 274-312

MLA

전영준(Jeon Yeong joon). "프랑수아 페늘롱의 신비사상."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63(2009): 274-3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