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Who Is the Carrier?:- A comparative study on identification of carrier in Korea and U.S. -

이용수 36

영문명
Who Is the Carrier?:- A comparative study on identification of carrier in Korea and U.S. -
발행기관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저자명
이창재(ChangJae Lee)
간행물 정보
『법학논총』제23권 제1호, 113~13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4.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대륙법 체계를 취하는 우리나라와 보통법 체계를 가진 미국은 해상법의 영역에서도 다소의 차이점을 보인다. 본고는 그 중에서도 해상운송에 있어서 운송인의 확정에 관한 한국과 미국의 접근방법을 비교 연구할 목적으로 기술되었다. 먼저 우리나라는 1991년 상법 개정에서 함부르크 규칙을 반영하여 기존의 ‘선박소유자중심주의’에서 ‘운송인중심주의’로 선회하게 되었다. 상법 제809조의 해석 상 종래 선박소유자만을 운송인으로 보는 시각을 벗어나 항해용선자 또는 정기 용선자 등 다양한 해상운송주체도 운송인의 지위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구체적인 사안에 있어서 운송인의 확정은 주어진 사실 관 계 및 제반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게 되었다. 우리와 달리 개품운송에 관한 COGSA 이외 성문 해상법전을 가지고 있지 않은 미국의 경우 운송인 확정은 철저히 구체적인 사실관계의 파악에 따라 해결된 다. 대륙법계와 비교할 때 미국에서의 소송제기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첫 째, 소송문화적 특성상 통상적으로 원고는 당해 해상운송과 관련된 모든 당사자 에 대해 소송을 제기하고 누가 진정한 운송인인지 여부는 소송과정에서 밝혀지도록 한다. 또한 선박 그 자체를 피고로 하는 대물소송(in rem action)제도를 이용 할 수 있는 점도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원고에게 유리한 수단이 된다. 특히 복잡 한 용선계약이 체결된 상황에서 운송인 확정에 관한 부담 없이 선박 그 자체에 대해 소송을 제기하고 그에 따른 유치권을 행사할 경우 선박이 운항되지 못함에 따라 신속한 소송절차의 진행이 도모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우리나라와 미국은 법제도의 차이로 운송인의 확정에 관한 상반된 절차 와 법리를 가지고 있지만,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바탕으로 여러 제반사정을 종합 적으로 고려하여 운송인을 확정한다는 점에서 공통분모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방식의 기저에는 손해를 입은 화주의 보호를 두텁게 보호하려는 경향이 내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Under the civil law tradition, the Korean Commercial Act regulates liabilities and responsibilities of shipowner and charterer as the confirmed carrier. There have been some revisions of this particular clause to govern the matter of subcontracting carriage of goods by sea. According to its latest version, where a voyage charterer or a time charterer has entered into the contract of carriage with a third party under his own name, that charterer and shipowner shall be jointly and severally liable to the third party to the extent that the fulfillment of the contract belongs to the duties of the master. On the other hand, based on its practical approach method, U.S. maritime law focuses on interpretation of the contract of carriage or charter party to decide the issue: who is the carrier. From those factual findings, the vessel, shipowner or charterer, or all of them shall be liable as carrier to the cargo interests. Although the two legal systems adopted different methods to identify the carrier, it seems that both are flexible concerning identity of carrier for the same purpose - offering more protection to the innocent cargo owners.

목차

국문초록
Ⅰ. Introduction
Ⅱ. Views in Korean Maritime Law
Ⅲ. Views in U.S. Maritime Law
Ⅳ. Conclusion
References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창재(ChangJae Lee). (2016).Who Is the Carrier?:- A comparative study on identification of carrier in Korea and U.S. -. 법학논총, 23 (1), 113-139

MLA

이창재(ChangJae Lee). "Who Is the Carrier?:- A comparative study on identification of carrier in Korea and U.S. -." 법학논총, 23.1(2016): 113-1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