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운몽도>를 통해서 본 19세기 후반의 채색화의 세 가지 계통

이용수 478

영문명
The Three Lineages of the Polychrome Paintings of The Nine Cloud Dream dating to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이정희(Lee Junghee)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02號, 107~146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0
5,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구운몽』 은 사대부였던 김만중(1637~1692)이 숙종(재위 1674~1692)시대에 유배지에서 1687~1688년사이에지은한문소설이요한글소설이다. <구운몽도>는민화로장식용병풍의그림으로 오해받아, 별로 회화사에서 제대로 된 위치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는 작품이다. 이글에서<구운몽도>는처음에는화원의화가들이宮畫양식으로그려졌다가, 나중에사람들이 널리 즐기면서 양반사회와 상민들도 즐기게 민화식 작품도 나타났다고 주장한다. 필자는잔존, 19세기의 <구운몽도>들의 양식을 분석하고 계통과 연대를 추정해 보려고 한다. 그리고 추가해서 궁정회화 양식의 <구운몽도>의 계보를 세워보기 위하여 예를 분석하고 그 계통을 세우려 한다. 그러기 위하여 필자는 구운몽도의 배경에 나오는 산수화의 양식의 변화에 중점을두려고 한다. 포틀랜드미술관의 <구운몽도>는지금현존하는<구운몽도> 중에서 연대가가장이른것으로, 김득신(1752~1852)을 따르는 계통의 화원화가나 직업화가가 궁중양식으로 19세기 후반에 그린것 같다. 포틀랜드미술관의 <구운몽도>의 산수화의 양식은 김득신이 그렸다는 리움미술관의 <사계절도>(1815) 산수화의 양식에 가깝다. 성진이 팔선녀를 다리에서 만나는 장면의 산수화의 중점은원경인데, 성진과육관대사가사는곳을이상적으로걸작으로그렸다. 그리고포틀랜드미술관 병풍에 용, 게, 잉어, 새우가 半魚人으로 의인화하여 나타내는 것은 한국 미술의 새로운 주제로 이야기를 재미있게 그렸다. <구운몽도>의 두 번째의 계통은 샌프란시스코 아시아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상태가 좋고 직업화가가 자신있게 세세한 부분까지잘 그린작품이다. 샌프란시스코미술관의 <구운몽도>의 배경에는 산이 상반부를 거의 다 차지하고 중경이 거의 없다 싶게 되어 원경이 가까이 다가오게하였다. 높은산봉우리는 명암을 나타내고, 이것에기다란촉감의붓질로나타냈다. 이것은김홍 도(1745~1806?)의 산수화에서 보이는 양식이라서, 19세기의 김홍도 계통의 그림이라고 할 수있다. 성진이팔선녀를만나는그림에서는그림자같은것을검은색이아닌밝은색으로나타내서 물에 반사되는 것 같다. 샌프란시스코 그림의 정원의 구멍이 난 太湖石의 엷은 분홍색이나 대담하게 단순화된, 양식화된 것과 성진이 팔선녀를 만나는 장면에서 성진의 하얀 반투명한 모자를 통하여 부드러운, 검은 머리가 3차원적으로 명암대비가 되어 명암구사하여 나타나는 것은서양미술의영향으로보인다. 짙은푸른색안료들중의일부는“서양푸른색”이라고부르는데, 화학적 염료이다. 이 서양의 물감은 훨씬색깔이 진하고, 청명하고, 색이 선명하게 살아있는것같아서19세기말에그려진宮中繪畫(소위宮畫)에쓰여졌다. 샌프란시스코의그림이포틀랜 드의 그림보다 늦은 시기로 19880년대의 그림일 것이라고 추측된다. 온양 민속박물관에 있는 <구운몽도>는 김홍도 계통의 그림으로서, 산봉우리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산봉우리들을 삼각형의 밝은 석청과 석록의 편편한 추상적인 모습은 1880년도의 궁화 <일월오병도>와 같이 산수가 추상적이고 큐비즘같이 면을 쪼개서 나타내듯이하였고 또 전통적인 평면적인 공간이 아니라 대각면으로 3차원적인 공간을 나타내었다. 온양 민속박물관의 구운몽은 그것을 궁중화적으로 창조적으로 그린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구운몽 스토리는 보통 일반인이나 상인들 사이에 유행하여서 19세기 말에 저명한 화가나 민화화가들이 여러 가지 변화있게 작품을 그린 것 같다. 이것의 좋은 예가 파리의 기메박물관(Musée national des arts asiatiques 이나Musée Guimet) 소장의<구운몽도> 한 폭이다. 이 작품은 연대가 확실한 19세기 말의 1888년경의 작품으로 <구운몽도>의 연대를 알 수 있는 단 하나의 작품이다. 이작품은배경의산수화가아주다르다. 중경의산수화는없어지고, 하늘은노란색으로 단순화되고 추상적이어서, 거의 빈 공간이 된다. 여기서 구름은 노을이 지듯이, 붉은색은 프랑스의 후기 인상파 그림같이 표현적인데 고갱의 후기 인상파 그림과 거의 동시에 일어 난일이다. 추상적인형상과단순한거의일차색의노랑, 빨강과파랑과연초록이색깔의조화로입체감이 있는 산을 나타낸 장식적 산수화 풍경이다. 전체 그림이 평면적이고, 공간의 깊이가 없이, 완전 추상적인 구도가 적응되었고, 탁월한 색채감으로 1880년경에 한국만의 민화적 채색화의 구운몽이다. 조선시대가 1910년에 막을 내리고 일제강점기가 시작되면서 화원제도가 사라지자, 전통양식의 화가나 유민화가들은 계속적으로 사람들의 요구로 그림을 그리게 된다. 이런 사회조건은 전통적 양식이나 기술의제약에서 화가들을벗어나게 하였고, 20세기의 민화양식의<구운몽도>가 발달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작품들은 기술적으로는 정제되지 못했고, 단순하

영문 초록

The novel The Nine Cloud Dream or The Cloud Dream of the Nine is a rare novel written by Korean scholar-official Gim Man-jung(1637~1692). The novel was written sometime between 1687 and 1688 in his exile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r. 1674-1720). The Nine Cloud Dream screen paintings or Guunmongdo were misunderstood as minhwa or folk-paintings and thus have been regarded as in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Korean art.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 Guunmongdo was first painted in the court style by the court and professional painters, and later, as they became popular among the upper classes and the common people, they were painted by less established painters and even by itinerant painters in the minhwa or folk style. I plan to do an in-depth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amples of paintings of Guunmong or the Nine Cloud Dream of the 19th century and try to date them. In addition, I plan to analyze the aspects of the court-style paintings of Nine Cloud Dream painting to trace the lineages. For the lineages, I focused on the spatial treatment of the landscape elements, compositions and western elements. The ten-panel Nine Cloud Dream painting in the Portland Art Museum is probably the earliest extant painting. It was probably painted by court or professional painters following the lineage of Gim Deuk-sin(1754~1822) in the court style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style of the landscape in the screen is similar to that of the Landscape of the Four Seasons(1815) by Gim Deuksin. The focus of the landscape of the scene of Seongjin’s encounter with the eight fairies is the tall mountain retreat in the background. This portion of the painting is a masterpiece, ideally depicting the tall monumental mountains. The screen is unusual because it depicts the battle scene of the sea creatures as half human and half dragon, crab, or shrimp. This is new subject matter in Korean art and is a light-hearted depiction of the narrative. The second lineage of Nine Cloud Dream painting is found in the screen painting in the collection of the Asian Art Museum in San Francisco. This is a good painting in good condition, confidently painted by a professional painter with meticulous care. A large space is dedicated to the mountains in the background, and the middle ground is abbreviated thus bringing the background close. The mountain peaks are depicted with contrasting light and dark and defined with elongated soft brush strokes. This style is often found in the landscape paintings of Gim Hong-do(1745-before 1818), so this style can be identified as in the 19th century lineage of Gim Hong-do. The modeling of the stream below the bridge where Seongjin meets the eight fairies is defined not with gradations of black, but with different colors so that it gives the illusion of reflections on the water. Other more advanced features in this screen painting are the perforated rocks in the garden which are painted with light pink and are in boldly simplified geometric form. The treatment of the hair shown through the half-transparent hat of Seongjin is three dimensional, exposing the light and dark contrast modeling. The Asian Art Museum’s Nine Cloud Dream painting also shows the axe-cut strokes on the rocks and vibrant colors, similar to the Sun, and Moon and Five Peaks screen dated 1880 in the Jordan Schnitzer Museum collection. The Asian Art Museum’s Nine Cloud Dream painting uses strong blue and vibrant decorative colors. The chemical blue dye paint from the West was applied thickly, clearly, and boldly to enliven the painting, but it is found peeling off. Thus the painting probably dates after 1871, after the pigments were introduced. The Nine Cloud Dream painting in the collection of the Folk Art Museum at Onyang is another example of the Kim Hong-do lineage. The distinct mountains occupy most of the space, and the abstract bluish green abstract shapes and the patternized wrinkles of greenish blu

목차

Ⅰ. 서론
Ⅱ. 소설 구운몽 의 탄생과<구운몽도>의 탄생
Ⅲ. 19세기 후반 김득신과 김홍도 계통의 궁화양식 <구운몽도>
Ⅳ. 19세기 말, 20세기의 <구운몽도>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희(Lee Junghee). (2015).<구운몽도>를 통해서 본 19세기 후반의 채색화의 세 가지 계통. 백산학보, (102), 107-146

MLA

이정희(Lee Junghee). "<구운몽도>를 통해서 본 19세기 후반의 채색화의 세 가지 계통." 백산학보, .102(2015): 107-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