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질무문토기의 개념과 계통에 대한 一考

이용수 642

영문명
A Critical Review on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Iron Age Hard Plain Pottery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노혁진(Ro Hyukjin)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02號, 5~2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0
3,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철기시대 또는 원삼국시대의 무문토기를 통칭하는 경질무문토기는 새로운 고고학적 사실에 비추어볼때그정의와함의를재검토해야한다. 최근들어중도식토기문화의토기조합을포함한 고고학적문화상과 지리적분포영역, 전파경로, 凸자형주거지 구조등 총체적인양상이 드러남에 따라서, 중도식토기문화는 한반도의기존 무문토기문화나 김해식토기문화 또는전국계 토기 문화와는 계통과 기원지 및 한반도 안으로의 확산경로가 다른 독자적인 문화임이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경질무문토기라는 명칭이나 개념으로 일괄한 삼각구연 점토대토기와 중도식토기, 그리고 이 두 토기류를 제외한 철기시대 또는 원삼국시대의 무문토기들은 각각 계통별로 분별하여 그 발생과 변천 및 확산 과정을 접근해야한다. 삼각구연 점토대토기는 원형구연 점토대토기의 변형으로 그 기원과 변천과정은 한반도 안에서의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과정과 변화양상의 차원에서 별도로 다루어 져야하고, 중도식토기 도중도식토기문화또는凸자형주거문화의기원과한반도안에서의확산및변천과정의관점에서 그정의와 함의를정립해 나가야한다. 그리고, 한반도 안에서 중도식문화권의 밖에서중도식 토기문화의 토기조합과 철자형주거지 등의 고고학적 유물유적상과는 다른 토기조합과 고고학적문화유형 안에서 나타나는 철기시대 또는 원삼국시대의 무문토기들도 그 기원과 변천과정을 그러한 무문토기를 포함한 전국계 토기문화의 한반도 안으로의 확산과 지역별 토기와의 접변과 융합의 차원에서 그 양상을 추적해야한다. 이러한 시각에서는 소위 철기시대나 원삼국시대에 사용된 모든 무문토기들을 경질무문토기라는 일원화된 범주나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는 고고학적 또는 역사적인 근거가 없다. 따라서 인식론적이고 논리적인 혼선과 오류를 피하기 위하여 경질무문토기라는 명칭의 사용을 지양해야한다.

영문 초록

The Hard Plain Pottery has been recognized and used as a generalized terminology for various plain potteries that had been used in Korean Iron Age or Proto Three Kingdom’s Period. However, recent archaeological evidence raises questions on the definition itself as well as it’s implicature in archaeological description and explanation. All archaeological data including typical pottery assemblage, regional distribution boundary, diffusional route, typical house structure, etc. lead to a conclusion that the ‘Jungdo style pottery culture’ is an independent tradition different from any precedent plain pottery tradition in Korea or the pottery tradition belonging to Chinese Warring States Period. Therefore, from now on, all archaeological understandings and descriptions grounded on the monotonous concept of ‘Hard Plain Pottry’ must be sublated, and various plain potteries, especially the Jungdo Style pottery and the Triangular Rim Pottery, belonging to Korean Iron Age need to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corresponding indigenous origination as well as formational process. Finally, considering false interpretation and logical confusion that could be caused by such a conceptual terminology based on misunderstanding of archaeological facts, the ‘Hard Plain Pottery’ needs to be stopped of its usage in Korean archaeology from now on.

목차

Ⅰ. 머리말
Ⅱ. 경질무문토기의 명명과 개념에 대한 제 견해
Ⅲ. 경질무문토기와 중도식토기
Ⅳ. 경질무문토기와 중도식토기에 대한 새로운 관점
Ⅴ. 경질무문토기에 대한 다원적 접근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혁진(Ro Hyukjin). (2015).경질무문토기의 개념과 계통에 대한 一考. 백산학보, (102), 5-26

MLA

노혁진(Ro Hyukjin). "경질무문토기의 개념과 계통에 대한 一考." 백산학보, .102(2015): 5-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