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직장 이행과정의 직업경력 배열분석

이용수 535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Job Sequence in the School-to-Work Transition in Korea: Focusing on the Disparit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Alma Maters
발행기관
지역사회학회
저자명
박지애(PARK Ji Ae) 남춘호(NAHM Choon Ho)
간행물 정보
『지역사회학』지역사회학 제16권 제3호, 149~189쪽, 전체 4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7,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환위기를 전후하여 노동시장에 최초 진입한 청년층의 학교-직장 이행 과정에서 보이는 최종학교 소재지에 따른 직업경력의 차이를 배열분석을 활용하여 고찰해보았다. 분석에는 청년패널 1차 웨이브(2001~2006년)와 2차 웨이브 일부(2007~2011년)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청년층의 학교 -직장 이행 경로가 최종학교 소재지에 따라 비교적 특화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서울 출신은 1차노동시장으로 진입하는 이상적인 유형과 장기NEET형이 공존하였고, 경기ㆍ인천 출신은 화이트칼라직 중소규모일자리에, 비수도권 출신은 중소규모 일자리 중에서도 블루칼라 일자리에 특화되어 있었다. 또한 전체적으로는 고학력자일수록 유리한 이행경로를 보이지만 이러한 학력효과는 최종학교 소재지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비수도권 출신은 고학력 여성을 중심으로 학력효과가 잘 드러나지 않았고, 서울과 경기ㆍ인천의 일부 저학력 집단은 비수도권 출신 고졸 집단보다 고용불안정성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대체적으로 청년노동시장이 직종과 사업장규모를 기준으로 이중구조를 이루고 있는 가운데, 비수도권 출신이 직종과 사업장규모 양 측면에서 중첩적인 불이익을 겪는다는 점을 알려준다. 게다가 비수도권 출신은 다른 지역 출신들에 비해 외환위기 이후의 경기회복기에도 노동시장에서의 지위를 회복하는 속도가 매우 더뎌서 추후 출신학교 소재지에 따른 차이는 더욱 현격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youth's career pathway in the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from a holistic perspective, in terms of the alma mater's location, by utilizing sequence analysis. The Youth Panel Survey data collected in 2001-2011 is used. The result reveals that a specialized pathway in the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varies across school location. Graduates from institutions in Seoul displayed a tendency to form the most ideal type of the job sequence by advancing and settling into the primary labor market, but in the other hand, undergo long period of being a NEET after graduation. Youth who graduated in Gyeonggi/Incheon were likely to proceed to white-collar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y. Conversely, youth from regions outside of the Seoul Capital Area (SCA) contrasted with the Seoul and Gyeonggi/Incheon as they were prone to advance into blue-collar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y. For the academic level, although the highly educated youth were closer to the optimal conditions in general, the effect of education on youth's job sequence was different by school location. For university-educated female from outside of the SCA, there were little effect of education on the career-building process. Some of the less-educated youth who graduated in Seoul and Gyeonggi/Incheon were relatively more vulnerable to employment insecurity than high school graduates in regions outside of the SCA. Such outcomes indicate that Korean youth labor market is generally characterized by complex dual structure of occupation and firm-size differentials, and point out that graduates in outside of the SCA are suffering from the disadvantages in terms of both sides. Moreover, the job insecurity gap between youths depending on alma mater's locations will keep on getting wider, at least, in the near future, since graduates in regions outside of the SCA have been failing to recover from their status in the labor market even in the economic recovery phase after the 1997 financial crisi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학교-직장 이행에서의 출신지역별 차이
Ⅲ. 연구 방법론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애(PARK Ji Ae),남춘호(NAHM Choon Ho). (2015).학교-직장 이행과정의 직업경력 배열분석. 지역사회학, 16 (3), 149-189

MLA

박지애(PARK Ji Ae),남춘호(NAHM Choon Ho). "학교-직장 이행과정의 직업경력 배열분석." 지역사회학, 16.3(2015): 149-1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