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학생’ 대상 대학입학 특별전형에서 나타나는 선별적 통합

이용수 40

영문명
Selective Integration in the Admission Process for Multicultural Students
발행기관
지역사회학회
저자명
최가영(Gayoung Choi) 장원호(Wonho Jang)
간행물 정보
『지역사회학』제25권 제1호, 5~3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을 통한 사회이동 시스템에서의 통합과 배제의 실태를 검토하고자 고등교육 선발제도에서 다문화학생은 각각의 이주 배경에 따라 어떠한 제도적 상황에 놓여있는가, 어떠한 배경을 지닌 다문화학생이 통합의 대상이 되고 있는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대입전형인 ‘외국인 학생 전형’과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한 기회균등전형의 지원자격 요건을 국내 주요 29개 대학의 입학전형 모집요강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초・중등교육과정의 단계에서는 학생의 이민 배경에 의한 뚜렷한 구별없이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하여 ‘다문화 교육’정책을 통한 학교교육으로의 통합이 적극적으로 진행되었던 것에 반하여, 대학 진학 단계의 입시 기회와 특별전형은 이민 배경, 국적, 이민 정책(입국관리제도)상의 법적 지위에 따라서 통합의 대상이 구분된다. 이와 같이 다문화 교육의 대상이 일관적이지 않고 교육단계별로 분절적인 통합제도의 실상은 이주노동자 자녀와 중도입국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고등교육기회의 보장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현상을 낳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s on examining the realities of integration and exclusion within the university education system,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opportunity equalization measures targeting multicultural students. By reviewing the eligibility criteria for special admissions targeting multicultural students for the university entrance, the analysis explores the institutional situations in the higher education selection system for multicultural students based on their respective immigration backgrounds and identifies which multicultural students are included in the integration process. To accomplish this, the paper analyzes the admission guidelines of 29 major domestic universities, focusing on the special admissions for foreign students and admissions targeting multicultura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households within the opportunity equalization measures.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stages, there has been active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children” into school education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regardless of distinct differentiation based on students' immigration backgrounds. However, in the university entrance stage, the opportunities for admission and special admissions are differentiated based on immigration backgrounds, nationalities, and legal statuses related to immigration policies (immigration control system). Consequently, the target of inclusion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not consistent, and the fragmented nature of integration measures at different education stages leads to a phenomenon where the guarantee of higher education opportunities for children from foreign households and adolescents with mid-term immigration is not realized.

목차

Ⅰ. 문제의식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다문화학생 대상 대학입학전형의 도입과 전개 양상
Ⅳ. 대학입학전형 지원자격에 나타나는 통합과 배제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가영(Gayoung Choi),장원호(Wonho Jang). (2024).‘다문화학생’ 대상 대학입학 특별전형에서 나타나는 선별적 통합. 지역사회학, 25 (1), 5-38

MLA

최가영(Gayoung Choi),장원호(Wonho Jang). "‘다문화학생’ 대상 대학입학 특별전형에서 나타나는 선별적 통합." 지역사회학, 25.1(2024): 5-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