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최적 재난대응을 위한 재난유형 구분

이용수 591

영문명
Disaster Classification for Optimal Disaster Response in Korea
발행기관
한국방재학회
저자명
김용균(Kim Yong kyun) 장효선(Jang Hyo seon) 최윤조(Choi Yoon jo) 손홍규(Sohn Hong Gyoo)
간행물 정보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5권6호, 179~188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공학 > 기타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재난의 복잡화 및 대형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재난으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 역시 지난 10년간 재난으로 인해 많은 인명과 재산 피해를 입었으며, 특히 사회 재난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2013년 구미 불산 누출 사고, 2014년 마우나 리조트 붕괴사고, 세월호 사고 등 최근에 발생한 대규모 사회 재난들은 재난발생 원인을 기준으로 하는 기존의 재난유형 분류 체계로는 최적화된 대응 방안을 찾기 어려운 재난들이다. 이처럼 복합적이고 새로운 형태의 재난들에 적합한 대응방안을 강구하기 위해서는 재난의 발생양상, 진행특성, 대응기구의 역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유형분류 체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발생한 주요 재난사례들의 피해 진행 양상, 중대본과 중수본 가동 시기와 역할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재난 특성에 맞는 최적화된 대응체계 구축에 기반이 될 수 있는 새로운 재난유형 분류체계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Global loss due to disasters has been sharply increasing in conjunction with intensifying disaster complexity and magnitude. In the last decade, the Republic of Korea has also suffered a large number of casualties, uncountable physical damages and severe economic loss caused by various disasters. In particular, social disasters have been rapidly escalating. A series of recent social disasters, such as the Hydrofluoric Acid Leakage at the Gumi Chemical Plant in 2013 and the Mauna Resort Collapse in Gyeongju and the Sewol Ferry Accident in 2014, show that the current disaster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ed on the basis of hazard type, is neither comprehensive enough to deal with recently emerging disasters’ increased complexity and amplified magnitude, nor adequate enough to improve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Therefore, there is a critical need to develop a new disaster classification system that bears in mind disaster characteristics and the role of disaster response organizations. This research analyzed major disasters in the last decade, focusing on what types and patterns of disaster damage occurred; how quickly disasters precipitated damage; and when and how Central Disaster and Safety Countermeasures Headquarters and Central Disaster Management Headquarters operated according to their roles. As a result, this paper proposed a new disaster classification system that can serve to lay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an advanced disaster response system, which takes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disasters into account.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재난의 개념 및 분류
3. 최적 재난대응을 위한 재난유형 제시
4.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용균(Kim Yong kyun),장효선(Jang Hyo seon),최윤조(Choi Yoon jo),손홍규(Sohn Hong Gyoo). (2015).최적 재난대응을 위한 재난유형 구분.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5 (6), 179-188

MLA

김용균(Kim Yong kyun),장효선(Jang Hyo seon),최윤조(Choi Yoon jo),손홍규(Sohn Hong Gyoo). "최적 재난대응을 위한 재난유형 구분."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5.6(2015): 179-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