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Hub-and-spoke 관광개발을 위한 Networks 분석

이용수 154

영문명
An Analysis of Network for Hub-and-Spoke Tourism Development - Focusing on Pusan
발행기관
대한관광경영학회
저자명
박경옥(Park, Kyoung-ok) 김인신(Kim, Insin) 류지호(Ryu, Ji-ho)
간행물 정보
『관광연구』제29권 제3호, 1~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Hub-and-Spoke 관광개발개념을 적용하여, 부산지역에 위치한 관광지간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사회연결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SNA)을 활용하여 부산 방문객의 이동흐름을 분석하였으며 네트워크 구조와 관광지들의 결절지를 발견하였으며 둘째, 부산지역의 총 57개소 관광목적지를 행정구역 상 4개의 구역(A, B, C, 그리고 D구역)으로 나누어 구체적인 이동네트워크 구조와 결절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첫째, 부산 전체 관광지 네트워크 구조의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그리고 근접중심성에서 해운대 해수욕장이 관광객 이동 네트워크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운대 해수욕장은 특히 자갈치시장과 활발한 네트워크를 나타냈다. 둘째, 구역별로 살펴보면, 부산시의 네 개 구역 중 D구역(해운대해수욕장이 포함된 구역)과 B구역(자갈치시장 포함 구역)이 가장 강력한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반면, B와 D구역은 다른 구역들(A, C)과는 다소 약하거나 아무런 상호작용도 하지 않았다. 이는 해운대해수욕장이 Hub 관광지로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관광지이지만, 이를 중심으로 지나치게 편중된 관광객 이동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 관광개발자들은 편중성이 심한 지역의 네트워크를 다른 관광지들과 연계할 수 있도록 실질적 전략의 수립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well-proportioned development strategies of tourism destinations in Pusan, based on the Hub-and-spoke tourism development concept. To achieve this aim, (1) the structure of movement networks and the centrality of tourism destinations were analyzed through the data collected from 279 tourists in Pusan b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SNA) that reveals the Degree, Between and Closeness Centrality. (2) the tourism destination including 57 attractions was divided into four zones, namely A, B, C and D, to analyze detailed movement networks. The results of analysis revealed two major findings: (1) a Heaundae beach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all tourism destinations, especially a Jagalchimarket attraction and (2) D zone included a Heaundea beach had the strongest network with B zone included a Jagalchimarket attraction among four zones separated than A, C zones. Although the Heaundea beach could be considered one of the influential tourism destination such as Hub, the tourists’ movement flowing was too much emphasis on the tourism destination in Pusan. Therefore, tourism development planers needed to plan a substantive strategy in connecting the visitors’ movement network with the other destinations.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Ⅲ. 분석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경옥(Park, Kyoung-ok),김인신(Kim, Insin),류지호(Ryu, Ji-ho). (2014).Hub-and-spoke 관광개발을 위한 Networks 분석. 관광연구, 29 (3), 1-20

MLA

박경옥(Park, Kyoung-ok),김인신(Kim, Insin),류지호(Ryu, Ji-ho). "Hub-and-spoke 관광개발을 위한 Networks 분석." 관광연구, 29.3(2014): 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