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현대 시세계에 나타난 폭력성 연구

이용수 912

영문명
A study of violence appeared in the world of korean contemporary poetry - Focusing on poetry of Park Nam Chol -
발행기관
한국범죄심리학회
저자명
권성훈(Kwon, Sung Hun)
간행물 정보
『한국범죄심리연구』제11권 제2호, 175~19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현대시에 나타난 폭력의 양상을 탐구하면서 폭력의 원인과의미를 찾는데 있다. 한국 현대 모더니즘의 대표적 시인이라고 할 수 있는, 박남철시의시대적이고, 역사적 사건을중심으로 한폭력적 세계관을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으로 슬라보예 지젝의 ‘언어적 폭력’ ‘구조적 폭력’ ‘물리적 폭력’ 등 세 가지 논의를 중심으로 폭력성, 반폭력성, 비폭력성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첫째 ‘폭력성과 구조적폭력’에서는 국가가 자행한 폭력적 사태인 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사건 운동에 대 하여 3S라고 지칭할 수 있는 sport, screen, sex를 통해 억제하거나 제압하기 위해 ‘국가의 문화적 폭력’에 대한 폭력을 드러낸다. 이러한 폭력은 시스템적으로 국민들에게 자행하는 힘과 권력에 의한 이데올로기적이고, 공시적인 국가적 폭력이라는 점 에서 ‘구조적 폭력’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반폭력성과 물리적 폭력’에서는 폭력에 대항하기 위해 정치적인 형식을 파괴하고 장르를 해체하는 반미학의 원리로, 폭력적 현실을 부정하며 군사독재로 받은폭력의 반향으로써 반폭력을 행사한다. 이것은 폭력에 저항하기 위한 폭력으로 나타 나며, 국가로 대변되는권력에대한힘을무화시키기위해 ‘반폭력성의 법칙’이작용한다. 박남철은 정권의 무력적 훈육 방식을 도입하여 무지하고, 무력한 국민(독자)들을 반어적으로 일깨우고, 국민들을 대신하여 지배계층에 반폭력을 가한다는 측면에 서 아방가르드적으로 문학과 정치, 문학과 문화의 경계를 물리적이고 가시적인 폭력으로 해체하며 지배계층에 저항하는 ‘언어적 혁신’을 시도한다. 박남철의 반폭력성은폭력에 대한저항으로서국가가행한폭력적인 억압을 ‘물리적이고가시적인 폭력’으 로 행사하고 있다. 셋째 ‘비폭력성과 상징적 폭력’에서는 시대적 폭력을 증오하고 그것을 극복하기위해 상징화된 언어로서 대체하면서 ‘비폭력적인 무저항’과 ‘비폭력적인 저항’을 드러낸다. 이것은 국가의 폭력적인 사태를 비폭력적으로 바라보지만 대신에 독자들로 하여금 국가와 국민 사이의 시대 상황을 긴밀하게 유추하게 한다. 그의 비폭력성은 ‘무저항적’인 ‘상징화 된 언어적 폭력’을 보여준다. 또한 ‘기표 해체 화법’을 통해세계에 가해지는 폭력을 암묵적으로웅시하고 있다는관점에서 세계 안에 벌어지는 폭력 적 사태에 대해 ‘비폭력적 저항’을 보이기도 한다. 그의 시에서 ‘비폭력적인 무저항’과 ‘비폭력적인 저항’이 보여주는 공통점은 ‘언어적― ‘상징적 폭력’으로 나타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requently explore the search for a cause and meaning of the violence the cause of violence shown in Korea contemporary poetry.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Pak Nam-Chol (1953 to 2014)s that can representative of Koreas contemporary modernist poets focused on violent world view, they are analyzed. The research methods as Slavoj Zizek's ‘Verbal abuse’ ‘Structural violence’ ‘Physical violence’ all three centers on the discussion of violence, antiviolence, non-violene, checked out the modality. First in the ‘Violence and structural violence’ nation is in the ruthless violence committed by the state of affairs,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1980, case references that can be that motion on three sScreen, sport sex, or to suppress or subdue through speed ‘National cultural violence’ of violence against externally. Such violence is systematically committed to their citizens to strength and power by the ideological and national violence today in terms of public disclosure, as ‘Structural violence’ I can say. Second, in the ‘Physical violence and the anti-violence’ against violence in politics to the outward forms of destruction and to dissolve the genre, violent reality on the principle of the anti-aesthetics anti-violence by the repercussions of events received in the military dictatorship and violence. This is to protest violence against women, evidence of violence and the government, represented by Such behaviors make a force for power to ‘Law of the anti-violence is at play. Pak Nam-Chol the government's helpless, helpless people and ignorant approach to keeping (Reader) ironically to hear suggests the ruling class, on behalf of the people in anti-violence’ Avant-garde in terms applied as literary and political violence, physical and tangible boundaries between literature and culture and dismantled in the governing classes in resistance to ‘ a language Innovation will try ’. Park Nam-chol of the national Other Acts Committed on Board as violent repression of resistance to violence is the anti-violence ‘A physical, visible violence’ by events. Third in the ‘Nonviolence as performance symbolic violence’ era in a violent hatred of it symbolized that in order to overcome the language by substituting ‘Non-violent resistance.’ and reveals ‘Non-violent resistance’. This is so nonviolently, but instead of readers to look at the violent situation in the country between country and the tight analogies with times to make. His nonviolence is the ‘A resistance.’ phosphorus ‘The symbolism be a verbal abuse’ shows. Also through ‘dissolution technique of signifiers’ implicitly hold sway over the violence done to the world and in view of the world in which violence took place in a situation about ‘ efforts, Resistance ’ They also show. This was the common threads that are reflected in ‘Symbolic violence terms of verbally‘’ ‘Non-violent non-resistance.’ and ‘Non-violent resistance’ in his poetry showed up in.

목차

Ⅰ. 서론
Ⅱ. 폭력성과 구조적 폭력
Ⅲ. 반폭력성과 물리적 폭력
Ⅳ. 비폭력성과 상징적 폭력
Ⅴ.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성훈(Kwon, Sung Hun). (2015).한국 현대 시세계에 나타난 폭력성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11 (2), 175-196

MLA

권성훈(Kwon, Sung Hun). "한국 현대 시세계에 나타난 폭력성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11.2(2015): 175-1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