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불안 감소를 위한 국내 음악치료 연구 메타분석
이용수 81
- 영문명
- A Meta-Analysis of Domestic Music Therapy Research Studies Related to Anxiety Reduction
- 발행기관
- 한국음악치료학회
- 저자명
- 임선영 배미현
- 간행물 정보
-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26권 제1호, 23~5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음악중재의 불안감소 효과에 관한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증거는 음악치료 임상연구의 발전과 최적의 임상 운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음악치료사에 의해 시행된 음악중재의 불안감소 효과를 평가하고 표본크기, 대상자 특성, 불안 유형, 음악중재 특성과 같은 변수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등의 온라인 검색엔진을 사용하여 자료의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총 33편의 연구를 최종적으로 추출하였다. 개별연구의 자료를 코딩한 후, R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체 효과크기 분석, 이상치 검토, 이질성 검정, 조절효과분석, 출판편향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음악은 불안 감소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중재로 파악되었으며,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 외, 사용한 음악중재 유형과 세션 회기 수와 같은 조절변수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불안 완화를 위한 음악치료 임상에 필요한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증거에 기반한 음악치료 연구의 발전을 위한 학술적 논의를 촉진한다는 함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Objective and comprehensive evidence regarding the effects of music for anxiety reduction is necessary to promote research advancement and best clinical practices in music therap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eta-analyze the effect of music interventions conducted by music therapists on anxiety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effect size when accounting for variables such as sample size, participant characteristics, anxiety type, and interventions characteristics. A total of 33 experimental studies, which met inclusion criteria, were extracted from online databases, such a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Followed by data-coding, an outlier review, heterogeneity analysis, estimating the overall and subgroup effect sizes, and publication bias review were performed, using the R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music intervention h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reducing anxiety, presenting an overall effect size of -0.77 at a moderate level. Furthermore, there were influences from moderating variables, such as the music intervention used and the number of intervention sessions on the effect size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practical information for music therapy practice aimed at anxiety reduction and aim to foster scholarly discussions for enhancing related evidence-based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5권 2호 목차
- 보육교사의 원장-교사 교환관계와 이직의도 관계에서 과업갈등과 직무만족의 순차적 매개효과
- 성별에 따른 중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조절곤란, 비자살적 자해 간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된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