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숙아로 태어난 음악치료사의 자기가치감 회복과정에 대한 예술기반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5

영문명
Art-based Auto-ethnography: The Recovery Process of Self-Worthiness of a Music Therapist Who Was Born Prematurely
발행기관
한국음악치료학회
저자명
김숙경 장효진 김동민
간행물 정보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26권 제1호, 81~10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숙아로 태어나 낮은 자기가치감을 경험한 음악치료사가 자기성찰을 통하여 자기가치감을 회복하는 과정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예술자료를 연구자료로 활용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하는 예술기반 연구와 연구자의 자기가치감 회복과정을 자문화기술지의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고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는 미숙아로 태어나 미숙아가 겪는 신체적 ․ 정서적인 어려움을 경험하였고, 엄마의 과보호 양육으로 인해 스스로 홀로서기의 어려움과 가족과 친척들 사이에서 비교와 평가를 받으며 낮은 자기가치감을 형성하였다. 둘째, 나는 음악치료사로서 훈련 과정을 통해 낮은 자기가치감을 통찰하게 되었다. 셋째, 나는 다시 도전한 음악치료 학위과정에서 예술작업과 성찰 과정을 통해 낮은 자기가치감의 회복과정을 경험하며, 개인적 성장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음악치료사의 낮은 자기가치감의 회복 경험은 자신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사랑하며, 인정하는 긍정적 경험이 자기가치감을 증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술작업을 기반으로 한 자기성찰 과정을 통해 개인적 성장을 이루어 나가는 구체적이고 생생한 정보를 제공하고, 미숙아의 더딘 발달과정으로 인한 낮은 자기가치감의 회복과정을 보다 실체적으로 안내하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process of recovering self-worth through self-reflection by a music therapist who was born prematurely and experienced low self-worth. To this end, art-based research, which analyzes art data in various ways using art data as research data, and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researcher’s self-worth were analyzed and described as research methods in auto-ethnograph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was born premature and experienced the phys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that premature babies experience, and due to my mother’s overprotective upbringing, I formed a low sense of self-worth by being compared and evaluated among my family and relatives. Second, as a music therapist, I gained an insight into low self-worth through the training course. Third, I was able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restoring low self-worth through art work and reflection in the course of a music therapy degree that I challenged again, and grow personally and professionall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restoring low self-worth by music therapis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self-worth by accepting, loving, and acknowledging themselves as they a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specific and vivid information that achieves personal growth through a self-reflection process based on art work and guiding the process of restoring low self-worth due to the slow development of premature babies more substantiall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숙경,장효진,김동민. (2024).미숙아로 태어난 음악치료사의 자기가치감 회복과정에 대한 예술기반 자문화기술지. 한국음악치료학회지, 26 (1), 81-106

MLA

김숙경,장효진,김동민. "미숙아로 태어난 음악치료사의 자기가치감 회복과정에 대한 예술기반 자문화기술지." 한국음악치료학회지, 26.1(2024): 81-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