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음악치료 환경에서의 치료동맹 척도 개발 연구

이용수 14

영문명
Development of a Therapeutic Aliance Scale in a Music Therapy Setting
발행기관
한국음악치료학회
저자명
황은영 양은아
간행물 정보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26권 제1호, 107~12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음악치료 환경에서 음악치료사가 지각하는 치료사와 내담자 간의 치료동맹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치료동맹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문헌고찰을 통해 음악치료 환경에서의 치료동맹 현상을 확인하고, 이후 임상경력 10년 이상의 음악치료사 10명을 대상으로 치료동맹 경험에 대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최초 3개 요인, 48개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은 전문가 5인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30개의 문항으로 수정 보완되었으며, 이후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조사는 2023년 7월 6일부터 7월 20일까지 음악치료사 자격증을 소지한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204개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 요인 간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공인타당도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총 5개의 요인, 21개의 문항을 최종 선정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담자의 긍정 정서 경험’ 요인에는 5개의 문항, ‘치료사의 공감적 태도’ 요인에는 4개의 문항, ‘내담자의 치료를 위한 협력’ 요인에는 4개 문항, ‘음악의 치료적 협력’ 요인에는 3개 문항, 마지막으로 ‘치료사의 중재에서의 협력’ 요인에는 5개의 문항이 선정되었다. 이 연구는 음악치료 환경에서 치료사와 내담자 간의 치료동맹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함으로써 음악치료 임상 환경의 독특한 특성을 고려하면서 치료동맹 수준을 측정할 수 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herapeutic alliance scale to measure the level of therapeutic alliance between therapist and client in a music therapy setting. The procedure of the study was as follow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henomenon of therapeutic alliance in music therapy settings, followed by in-depth interviews with 10 experienced music therapists about their experiences with therapeutic alliance to develop an initial 3-factor, 48-item scale. The developed items were revised to 30 items through content validation by five experts, and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6 to July 20, 2023, among music therapists with music therapist certification, and a total of 204 data were colle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ter-factor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and as a result, a total of 5 factors and 21 questions were finally selected. Five items were selected for the ‘client’s positive emotions experience’ factor, four items for the ‘therapist’s empathetic attitude’ factor, four items for the ‘client’s cooperation for therapy’ factor, three items for the ‘music’s therapeutic cooperation’ factor, and finally five items for the ‘therapist’s cooperation in intervention’ facto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by developing a measure of therapeutic alliance between therapist and client in a music therapy setting,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level of therapeutic alliance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therapy clinical sett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은영,양은아. (2024).음악치료 환경에서의 치료동맹 척도 개발 연구. 한국음악치료학회지, 26 (1), 107-127

MLA

황은영,양은아. "음악치료 환경에서의 치료동맹 척도 개발 연구." 한국음악치료학회지, 26.1(2024): 107-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