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품화된 전쟁

이용수 499

영문명
Commodified War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저자명
오윤정(Oh, Youn-jung)
간행물 정보
『일본연구』第24輯, 385~41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1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37년에서 1945년에 이르는 전쟁기는 흔히 일본 근대사의 '어두운 골짜기'로 묘사된다. 1938년4월 '국가총동원법'이 제정되고 소비와 오락을 부정하는 시대에 백화점은 가장 큰 타격을 받게 되는 사업이어야 했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전쟁이 시작된 1937년부터 1940년까지 백화점의 매출은 매년 꾸준히 증가했다. 소비의 전당 백화점과 검약을 강요하는 총동원체제를 양립 불가능한 관계로 놓는다면 1940년까지의 백화점 매출 증가와 이후 현상유지는 설명 불가하거나 총동원정책의 실패로 해석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전시 국가에의 봉공.희생과 개인의 욕망과 즐거움의 추구가 백화점에 의해 배타적 관계가 아니라 상호형성관계를 맺게 되었다. 총력전을 위해 개인의 일상이 국가에 의해 엄격하게 규율되고 통제되는 중에도 백화점은 소비와 오락을 윤리적으로 정당화할 수 있는 방편을 만들어 줌으로써 전시 국민으로서 감당해야 할 희생과 모순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개인의 욕망과 즐거움을 충족할 수 있도록 했다. 백화점은 국책에 도전하는 대신 오히려 그것을 전용함으로써 사업을 유지하고 심지어 성장시켰다. 전쟁기 특히 1940년까지 후방의 일상은 전전에 누리던 근대적 생활의 단절이 아니라 '전시근대'라는 형태로 지속되었다. 이 글에서는 백화점이 어떻게 총력전하에서 전쟁 자체를 소비와 오락의 대상으로 상품화하기 위해 다양한 시각 장치들을 사용했는지 살펴본다.

영문 초록

The years from 1937 to 1945 have been perceived as a “valley of darkness” in modern Japanese history. During this period, when the notions of consumption and leisure were harshly criticized under the National Mobilization Law, it was the department stores that must have sustained the most challenges. However, interestingly enough, the financial net profits of department stores steadily increased every year from 1937 until 1940. If department stores, known as cathedrals of consumption, are to be incompatible with a system of total war that enforces a life of austerity and thrift, the increase in department store sales until 1940 is inexplicable or must be interpreted as a product of the failure of the state-directed mobilization campaign for total war. However, the pursuit of personal desire and pleasure became not antithetical to, but rather constitutive of, the service and sacrifice for the wartime state through department stores. While people’s everyday lives were strictly regulated and controlled by the state for the goals of total war, department stores provided the moral justification for personal consumption and leisure, allowing people to pursue their desires and pleasures without contradicting their obligation towards the war effort. Department stores sustained and even prospered in their business by appropriating the state-directed mobilization campaign for total war rather than contradicting it. During the war, particularly in the years from 1937 until 1940, daily life on the home front posed not as a rupture but as a continuation of prewar modern life, taking on the form of “wartime modernity.” This article explores the ways in which department stores adopted various visual practices to commodify the war as an object of consumption and leisur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축제 같은 전쟁
Ⅲ. 애국용 상품
Ⅳ. 전쟁이라는 구경거리
Ⅴ.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윤정(Oh, Youn-jung). (2015).상품화된 전쟁. 일본연구, 24 , 385-410

MLA

오윤정(Oh, Youn-jung). "상품화된 전쟁." 일본연구, 24.(2015): 385-4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