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0)‘전후’와 폭력

이용수 230

영문명
Post-war Japan and the Violence of the Cold War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저자명
서동주(Seo, Dong-ju)
간행물 정보
『일본연구』第24輯, 273~30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1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냉전의 시간을 ‘전후’라는 감각으로 산다는 것이 어떻게 가능했는지를 냉전의 폭력을 둘러싼 담론의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이 문제를 제기한 이유는 이런 감각이 유지되는 동안에도 ‘전후’ 일본은 냉전과 ‘연루’되어 있었다는 사실에 있었다. 이것을 생각할 때 <일본국헌법>의 존재가 중요하다. 무력에 의한 분쟁해결을 ‘영구히’ 포기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기에 줄곧 ‘평화헌법’이라 불린 <일본국헌법>은 냉전이라는 적대성의 세계로부터 일본을 ‘분리’시키는 논리적이고 때로는 정서적인 근거였기 때문이다. <일본국헌법>이 존재하는 ‘전후’의 일본은 ‘평화’의 장소이며 전쟁과 같은 ‘폭력’과 무관하지 않으면 안 된다. 여기서 ‘전후’라는 공간이 ‘외부=전쟁/내부=평화’와 같은 폭력을 둘러싼 지정학적 상상력을 동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전쟁’, ‘기지’, 그리고 ‘핵=원자력’은 ‘헌법=전후’에 대한 중대한 위협이 아닐 수 없다. 이런 것들은 부단히 일본과 냉전의 ‘연루’를 상기시키며, 따라서 ‘전후’가 설정하는 상상적 경계의 ‘교란’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현실에서 일본은 결코 냉전의 외부에 있지 않았다. ‘전후’와 ‘냉전’의 경계는 ‘이데올로기(허위의식)’에 가까운 것이었다. 그러나 일본인들에게 냉전의 시간은 자신들의 시간과 무관하게 인식되었고, 따라서 ‘전후’ 관념의 이데올로기적 성격도 거의 의식되지 않았다. 그렇다면 ‘전후’의 담론 안에서 침범하는 냉전의 폭력은 어떻게 처리되었던 것일까? ‘전후’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은 어떤 의미작용을 통해 ‘은폐’되었던 것일까? 분석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전쟁이라는 폭력과 재일조선인의 폭력은 외부화=타자화의 방식으로 ‘전후’와 분절되고 있었다. 한편 일본 내부에 존재하는 냉전적 폭력을 상징했던 미군의 폭력은 1950년대 ‘가해자의 폭력’으로 표상되었지만, 기지의 편재성이 사라진 1960년 이후 일본의 안보와 관련된 ‘수호자의 폭력’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밟았다. 그 결과 1950년대의 맥락 안에서 재일조선인과 미군기지는 냉전의 폭력을 ‘전후’의 공간으로 유입하는 침입자의 표상을 부여받았다는 점에서 동렬에 위치했다. 핵이라는 또 하나의 냉전적 폭력이‘평화이용’이라는 담론과 결부되어 ‘전후’일본에 수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피폭의 기억’이 핵에너지의 도입을 거부하는 논리가 아니라 일본인이야말로 핵의 평화적 이용을 실현할 수 있는 ‘유일한 주체’라는 담론을 지탱하는 근거가 되고 있음도 확인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ow how it was possible for the Japanese people post-war to live under their new peace constitution in the time of the Cold War through an analysis of the discourse surrounding the violence of the Cold War. This is a problem in the sense that post-war Japan is not often thought of as a major factor in the Cold War. When considering this issu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Constitution of Japan because it, the peace constitution, resolves that Japan permanently refrain from conflict settlement by force. The Constitution thus separated Japan from the world of the Cold War on logical and sometimes emotional grounds. Such a Japan is a place of peace independent of violence, such as war. Thus the Constitution was accompanied by a geopolitical imagination which envisioned the external as war and the internal as peace. In that sense, the Korean War, US military bases and nuclear power were regarded as serious threats to how post-war Japan viewed itself. Such events were constant reminders that Japan was involved with the Cold War, disturbing the imaginary boundaries set by the constitution. This article deals with the following issue: How can the reality of post-war Japan be reinterpreted and converged in the imaginary post-war? To this end, this article has reviewed representations of Cold War violence by targeting the discourse of the peace movement, fiction, pop culture, and news articles. The Korean War and Korean-Japanese conflicts were regarded as external party violence and, in that way, kept separate from post-war Japan. Meanwhile, the U.S. military bases in Japan, throughout the 1950s, were represented as perpetrators of violence. However, since the number of bases plunged in 1960, American violence was converted in Japan to mean guardian of violence. In the context of at least 1950, Korean, Japanese and U.S. military bases were considered to be outside intruders capable of implicating Japan in the Cold War. Finally, nuclear energy is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discourse of peace, I looked at the process of the acceptance of nuclear power in Japan. Here, it was confirmed that Japanese memories of atomic warfare did not stand in the way of the introduction of nuclear energy. This gave rise to the idea that only Japan could achieve the peaceful use of nuclear power.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폭력’의 외부화
Ⅲ. 미국과 폭력―‘가해자’에서 ‘선의의 수호자’로
Ⅳ. 폭력이 탈취된 ‘핵’의 표상과 ‘선한’ 일본인
Ⅴ.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동주(Seo, Dong-ju). (2015).10)‘전후’와 폭력. 일본연구, 24 , 273-304

MLA

서동주(Seo, Dong-ju). "10)‘전후’와 폭력." 일본연구, 24.(2015): 273-3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