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안보 개념에 대한 글로벌 인식의 관점

이용수 739

영문명
발행기관
글로벌교육연구학회
저자명
김용신
간행물 정보
『글로벌교육연구』글로벌교육연구 제7집 3호, 63~8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글로벌세계에서 안보는 총체적 의미를 띠고 있다. 안보에 대한 접근은 크게 국가중심과 인간중심으로 구분된다. 전통적인 국민국가의 주권을 군사적 수단에 의해 수호하는 개념이 국가안보이고, 개인의 일상생활을 인간답게 개선하고 지키려는 것이 인간안보이다. 이러한 안보 개념은 글로벌화가 진행되면서 수렴하고 있다. 국제사회에서 국가의 주권적 자율성은 다양한 국제기구의 활동과 비국가행위자들의 등장으로 인하여 재검토되고 있다. 국가가 실패할 경우 국제사회는 여러경로를 통하여 이에 간섭할 수 있다. 심지어는 국가의 보호책임에 따라 영토와 주권이 직접적인 군사개입에 의하여 간섭될 수도 있다. 인간안보 영역으로 여겨지는빈곤, 환경, 질병, 인권문제가 국가의 군사안보와 접선되는 것이다. 인간안보의 경우에도 영역의 포괄성으로 인하여 국가안보의 범주와 연계되어 확보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세계이다. 인간안보의 확장에 따른 국가안보와의 교차 현상은 포괄적안보 개념으로 일정 부분 설명될 수 있다. 포괄적 안보는 정치, 경제, 문화, 사회적안보를 다중 반영할 수는 있으나 국가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서 개념적으로 모호하며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안보에 대한 체계적 접근과 글로벌 인식을 가능하게해주는 새로운 의미의 포괄안보 개념의 도입과 활용이 필요한 것이다.

영문 초록

Security has a holistic position in a global world. The approaches to security are classified state-centered and human-centered. It is defined that national security is a protection of nation-state sovereignty by military power traditionally and human security is a improvement of personal right and condition in a daily life. This security concept converges on the same point by going global. Peoples are reflecting on the state-autonomy because of IGOs and non-state actors’ role in a international society. Global community ought to be able to intervene the failed-state through many paths and processes based on R2P rule. In this case, the territory and sovereignty of state is invaded by the other country’s army directly. Human security spheres, for example, poverty, environment, disease, human right, and so on, meet military security of nation-state. National and human security are crossed each other and have common senses. This phenomenon can be partly explained in terms of comprehensive security concept limitedly. Comprehensive security is composed of political,economic, cultural, and social aspects of multiple security. But its meaning has conceptual ambiguity in a real global world. Consequently, this paper pursued to introduce new comprehensive security concept and try global recognition of systematic approach to security.

목차

Ⅰ. 서론
Ⅱ. 인간안보로의 개념 확장
Ⅲ. 안보 개념의 쟁점과 포괄성
Ⅳ. 글로벌안보의 체계적 인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용신. (2015).안보 개념에 대한 글로벌 인식의 관점. 글로벌교육연구, 7 (3), 63-82

MLA

김용신. "안보 개념에 대한 글로벌 인식의 관점." 글로벌교육연구, 7.3(2015): 63-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