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朝鮮王朝實錄』에 나타난 御筆形成에 관한 書藝的 考察

이용수 266

영문명
A Calligraphic Study on the Formation of King’s handwriting in 『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김정남(Kim, Jung Nam)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27호, 100~128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먼저 서예가 왕과 왕실에게 어떠한 의미와 가치가 있고,『朝鮮王朝實 錄』에 실려 있는 어필형성에 영향을 미친 내용을 탐색하여 어필의 서예사적 의미 를 추출해 내고자 하였다. 조선은 유학을 지도이념으로 개창한 유교국가로서 심미와 예술은 사람이 仁이란 정신경계에 도달하기 위한 방편으로만 인정되었다. 동한시대의 趙壹은 서예를 修身齊家하고 治國平天下에 해당하는 聖人의 業과 聖人의 道를 넓히고 세상을 일으킨다는 ‘弘道興世’의 관점에서 書藝를 이해하였다. 따라서 서예 는 임금의 수양의 도구임과 동시에 나라 경영의 수단으로서의 가치를 갖는다. 여말 선초 어필과 관련한 서예적 환경은 조선이 건국되기 이전부터 趙孟頫體가 이미 대 세를 이루었고 그 뿌리가 깊게 자리하고 있었다. 이러한 여건 속에서 조선왕조도 고 려 말부터 신진사대부를 중심으로 조맹부체가 사용되고 있었고, 이후 안평대군체, 석봉체에 영향을 미쳤다. 조맹부가 남긴 다양한 형태의 말년 해서작품 중에서 어필 에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된 자료로는 <證道歌>, <汲黯傳>, <道德經>이고, 이 중 에서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자료는 <證道歌>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서체의 형태적 특징은, 宋代의 유행서풍이었던 황정견과 소식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첫 째, 가로획은 左底右高形으로 기울기가 큰 편이며, 특히 글자 중 左邊畫의 가로 ․ 사 선획의 기울기의 경우 급경사를 이루는 경향이 많다. 둘째, 가로획 중에서 主畫의 길이가 다른 획에 비하여 길다. 셋째, 모든 획의 굵기의 변화가 크지 않다. 안평대군 체는 조선 초기 조맹부체를 아래의 두 가지 형태로 소화하여 어필에 뿌리내리는 가 교의 역할을 하였다. 그 두 가지 형태는 ①첫째, 조맹부체를 姸媚하고 부드러운 형태로 소화한 경우로 대표적 작품으로 <夢遊桃源記>와 <嚴上座贊>이 있다. ②둘 째, 北魏風의 필법으로 직선적이고 강하게 소화한 경우로 <臨瀛大君 墓表>와 <世 宗大王英陵神道碑文>이다. 한석봉체는 시기적으로 조맹부체가 이황과 송시열 등 사림 성리학자들의 비난의 대상이 되었지만, 엄격하면서도 중정한 서체를 선호하게 되 어 안진경체 등과 함께 선조이후 어필에 영향을 주었다. 조선왕들의 어필은 조맹부, 안평대군, 한호의 서체와 직접적으로 밀접한 영향관계를 유지하면서 왕마다의 다양하게 이를 소화하여 각양의 특성을 가진 조선왕조의 어필을 탄생시킨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s to abstract the meaning of king’s handwriting in the history of calligraphy by understanding how meaningful and valuable calligraphy is to the kings and the royal family and investigating the contents influenced to form king’s handwriting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 . Joseon dynasty was founded with Confucianism as a founding principle, so aesthetics and art were considered as the means for people to achieve the spiritual boundary, which was the benevolence. Zhàoyī of Eastern Han comprehended calligraph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age’s works that represented cultivating oneself, regulating well one’s family, governing well one’s state and bringing peace to the world and Hóngdàoxìngshì( 弘道興世 ), which means widening the sage’s Tao and prospering the world. Therefore, calligraphy was valued as a tool to cultivate the king himself and a means to govern the state at the same time. In the calligraphic circumstance related to king’s handwriting in betwee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the style of Zhàomèngfǔ’s handwriting has been a great trend and deeply rooted. The style of Zhàomèngfǔ’s handwriting has been used mostly by the new literati since late Goryeo, and it has influenced to the styles of prince Anpyeong’s handwriting and Seokbong’s. Among Zhàomèngfǔ’s calligraphic works in regular script in his latter years, , and have influenced to king’s handwriting, and has most directly influenced among others. Their styles of handwriting were influenced by those of Huángtíngjiān and Sūshì’s handwritings, those were very popular in Song dynasty, and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ft part of cross stroke is low, and the right is high, so that the slope is big. Especially the slope of a cross and diagonal stroke in the left part of characters tends to be steep. Second, the main stroke among the cross strokes is much longer than others. Third, the change of all the strokes’ thickness is not that big. The style of prince Anpyeong’s handwriting has played a major role in letting the style of Zhàomèngfǔ’s handwriting take root within king’s handwriting by digesting it in two ways. Firstly, it digested the style of Zhàomèngfǔ’s handwriting as a pretty and smooth form, and its representative works were the statement of and . Secondly, it followed the calligraphic style of Northern Wei, which was straight and strong, its representative works were and . The style of Zhàomèngfǔ’s handwriting has been blamed by Neo-confucianism scholars such as Lee, Hwang, Song, Siyeol and etc., but people have become to prefer a rigorous and impartial style, so that the style of Seokbong’s handwriting has influenced to king’s handwriting since King Seonjo, along with that of Yánzhēnqīng’s. Kings’ handwritings in Joseon dynasty have maintained an affirmative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the styles of Zhàomèngfǔ’s handwriting, prince Anpyeong’s and Seokbong’s, and they have had diverse characteristics by accepting them differently.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조선왕조의 서예 및 어필에 대한 인식
Ⅲ.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어필형성 관련 기록
Ⅳ. 어필 형성에 영향을 미친 서예가와 서체의 서풍 고찰
Ⅴ.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남(Kim, Jung Nam). (2015).『朝鮮王朝實錄』에 나타난 御筆形成에 관한 書藝的 考察. 서예학연구, (27), 100-128

MLA

김정남(Kim, Jung Nam). "『朝鮮王朝實錄』에 나타난 御筆形成에 관한 書藝的 考察." 서예학연구, .27(2015): 100-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