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秋史 金正喜의 書藝精神論에 대한 考察

이용수 233

영문명
A Study on the Calligraphic Idealism of Chusa Kim Jeonghui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김광욱(Kim, Kwang-Ug)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27호, 184~206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秋史 金正喜(1786-1856)의 書論 가운데 精神論에 국한하여 고찰한 글이다. 구체적으로 추사 김정희의 서예정신론을 ‘書如其人의 審美思惟’, ‘文字香書卷氣 의 書藝精神’, ‘詩品 ․ 書法 ․ 畵髓의 同一妙境’으로 나누어 규명하였다. 첫째, ‘서여기인의 심미사유’이다. 글씨는 덕행이 높고 학문이 깊은 ‘士君子의 度 量’을 지녀야 하며, 天機로 써야 속된 기운이나 기교가 사라져 오래도록 싫증나지 않는다고 하였다. 이러한 품평기준은 글씨가 붓 끝에서만 발현하는 것이 아니라, 덕행과 학문을 갖춘 품성에서 유로된다는 것을 강조한 데서 비롯되었다. 이것은 단순히 글씨의 형태미에만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인품과 학문이 배양된 정신 미에 초점을 둔 것이다. 즉 ‘先心後筆’을 피력한 것이다. 또한 필법은 전수를 통해 가능하지만, 정신과 흥취는 自得이 요체라고 보았다. 이것은 필법보다 정신을 우위에 둔 사유이다. 즉, 글씨의 형태미 이전에 정신과 흥회를 중시하였다. 둘째, ‘문자향서권기의 서예정신’이다. 훌륭한 글씨는 胸中에 淸高古雅한 뜻이 들 어있지 않으면 손에서 나올 수 없기 때문에 흉중에 문자향과 서권기가 들어있는 것 이 서예의 심오한 비결임을 강조하였다. 때문에 서화에서 품격의 높낮이를 평하는 데 있어서 정신을 우위에 두었으며, 상대적으로 ‘俗氣’를 경계하였다. 즉, 향기는 이상적으로 지향하는 경지이지만, 속기는 가장 경계해야할 최악의 대상이므로 조속히 그 경지에서 벗어나 글씨에 ‘문자향서권기’가 내재될 것을 요구하였다. 셋째, ‘시품 ․ 서법 ․ 화수의 동일묘경’이다. 추사는 書畵의 道가 동일하다는 ‘書畵 同體論’을 주장하였으며, 이는 모두 속기에서 벗어나야만 옳지 못한 길에서 탈피할 수 있다고 역설하였다. 추사는 서법과 시품과 화수를 동일한 경계로 인식하였으며, 서예가로서 시서화를 博涉하여 시서화 세계를 자유롭게 遊泳하면서 그 정수를 이해 해야만 서예의 세계가 더욱 심오해질 수 있다고 여겼다. 추사의 서예정신론은 필법과 형태미에만 경도되는 것을 경계하고, 서예의 심오한 정신적 세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해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bout calligraphic theory of Chusa Kim Jeonghui (1786-1856), especially contemplating its idealism. This study defines the calligraphic idealism of Chusa Kim Jeonghui with three categories, which are the aesthetic thought that one’s writing is the mirror of that person, the spirit of calligraphy that noble grace comes from intellectual discipline, and the marvelous achievement that the poetic grace and the calligraphic technique get united with the quintessence of painting. Firstly, there is the aesthetic thought that one’s writing reflects what that person is. This aesthetic thought suggests that calligraphy be with magnanimity of the Four Gracious Plants which comes from the behavior with high morality and profound learning and also be written by principle of nature to remove vulgar or tactful impression, remaining not to be wearisome for a long time. This appreciation criterion is derived from emphasizing that calligraphy is not just a technique from the end of the brush but from the personality equipped with morality and intelligence. It focuses not just on the physical beauty of calligraphy but the spiritual beauty of writer’s personality and intelligence, proposing ‘Writing comes after mind.’ In addition, the technique of calligraphy is to be taught but the spirit and spice is taught only by learners themselves. It is the way of thought giving the spirit superiority over the technique, which regards the spirit and spice of calligraphy as more important than its physical beauty. Secondly, there is the spirit of calligraphy that noble grace comes from intellectual discipline. Excellent calligraphy cannot be achieved without highly pure and noble mind so the mind with noble grace coming from intellectual discipline is the secret of good calligraphy. Hence when appreciating the poem and painting, its spirit is regarded as the priority and the secularity is the thing to be sublated on the contrary. In other words, the scent of nobleness in calligraphy is the ideal while that of secularity is the first to be sublated, demanding that writing should be with the spirit of calligraphy that noble grace comes from intellectual discipline. Thirdly, there is the marvelous achievement that poetic grace and calligraphic technique get united with the quintessence of painting. Chusa insisted that the essence of poem is same with that of painting and both can be righteous by eliminating the scent of secularity in them. Chusa considered the poetic grace, the calligraphic technique, and the quintessence of painting as the same and as a calligrapher he thought that understanding the quintessence of the poem and painting can be achieved to make the world of calligraphy more profound only by learning the poem and painting broadly and intensively. The calligraphic idealism of Chusa has the significance in that it emphasizes not to be immersed only in technique and physical beauty of calligraphy and indicates the way of proceeding to the profound spiritual world of calligraphy.

목차

Ⅰ. 序言
Ⅱ. 書如其人의 審美思惟
Ⅲ. 文字香書卷氣의 書藝精神
Ⅳ. 詩品 ․ 書法 ․ 畵髓의 同一妙境
Ⅴ. 結語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광욱(Kim, Kwang-Ug). (2015).秋史 金正喜의 書藝精神論에 대한 考察. 서예학연구, (27), 184-206

MLA

김광욱(Kim, Kwang-Ug). "秋史 金正喜의 書藝精神論에 대한 考察." 서예학연구, .27(2015): 184-2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