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중기 서화평론의 『장자』적 경향성에 관한 고찰

이용수 216

영문명
A Study on the Tendency of 『 The Chuang Tzu 』 in Criticism of Calligraphy and Paintings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전상모(Jun Sang Mo)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27호, 128~161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중기는 외적인 전화와 내적인 당쟁과 결부되어 『莊子』는 다양한 차원으로 수용되었다. 본고에서는 於于 柳夢寅, 象村 申欽, 蛟山 許筠 등을 분석대상으로 삼아 그들의 『장자』수용 양상과 서화평론의 『장자』적 경향성을 고찰하였다. 이들의 『장자』수용은 문장학습의 차원에서 나아가 『장자』의 인식론을 수용하 여 새로운 사상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들은 정치현실이나 사회를 비판할 때『장자』의 사유와 문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들의 『장자』활용은 직접적 이며 불우함의 토로보다는 현실비판이 대부분이다. 우언을 사용하여 성리학적 관념 에 대해 회의하거나 부당한 현실에 대해 불만을 표출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상대주 의 시각과 이를 통해 현실을 비판하는 장자적 예술정신과 상통한다. 於于는 문장과 서예로 不朽를 꿈꾸었으며 기묘명현의 한 사람인 金絿를 추숭하였 다. 황기로의 ‘奇’적인 ‘狂逸’한 서예를 높이 평가하고 학습하였다. 이는 당시 ‘기’적 인 서예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감안한다면 시대를 초월한 것이다. ‘기’는 일반적으 로 ‘正’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탈성리학적이다. 이러한 시기에 ‘奇’적인 서예를 높이 평가하고 자신도 그러한 서풍에 경도된 것은 평가받을 만하다. 象村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심미경지는 ‘玄’의 경지였다. 그리하여 삶을 온전히 하 고자 세속을 초탈하여 자연 속에서 유희하고자 하였다. 그는 서화를 ‘道’ ‘天籟’ ‘神’ 의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상촌의 이러한 사유는 그가 지향했던 ‘玄’의 경지와 일치한 다. 상촌의 이러한 경지는 천지자연의 모습에 따르고 천지만물의 다양한 변화 순응 하며 무한한 세계에서 노니는 사람만이 누릴 수 있는 절대자유의 경지라 하겠다. 蛟山은 이러한 ‘趣’를 적극적으로 추구하였다. 그는 화폭 속의 승사를 세속 밖에서 실천하려는 꿈을 꾸었으며 그림으로나마 도가적 삶을 살았던 고인들과 같은 삶을 살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는 자신이 추구했던 심미경지를 실천하지 못하고 권력 싸 움에 말려들어가 처형되고 말았다. ‘趣’를 불가에서는 중생이 번뇌로 말미암아 말․행 동․생각 등으로 악업을 지어 죽어서 가게 되는 곳이다. 교산이 행한 말․행동․생각이 과연 악업이었는가에 대해서는 재고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조선중기 문인들의 서화평론에서 자신들의 새로운 미의식을 전개하였다. 장자적 사유에서는 고정불변한 것은 없다. 그들은 기존의 미의식을 맹목적으로 따르 기보다는, 기존의 고정된 틀을 부정하고 비판하면서 끊임없는 자기 변신을 꾀할 때만이 영원한 생명을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을 자각한 인물들이라 하겠다.

영문 초록

『 The Chuang Tzu 』 has been associated with an external destruction by war and an internal party strife and accepted in many different dimensions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analyzed Eou Yu, Mongin, Sangchon Shin, Heum and Gyosan Heo, Gyun and considered their acceptance aspects of 『 The Chuang Tzu 』 and their tendencies of『 The Chuang Tzu 』 in criticism of calligraphy and paintings. They have searched a possibility of a new thought not only by accepting 『 The Chuang Tzu 』 in terms of a sentence study but also by accepting the epistemology of 『 The Chuang Tzu 』 . They were used to take advantage of the thought and the literary style of『 The Chuang Tzu 』 when they criticized a political reality or a society. Their utilization of 『 The Chuang Tzu 』 was direct and not a complaint of the underprivileged but mostly a criticism of the reality. Also, they felt doubts about the concept of Neo-Confucianism and complained of an unjust reality by a fable. This aspect is correlated to Master Chuang Tzu’s art spirit which criticizes the reality through a relativistic view. Eou has dreamt of an immortal artist in literary and calligraphy and respected Gim, Gu, one of the noted sages who suffered a massacre of scholars in Gimyo(1519). He highly estimated Hwang, Giro’s calligraphy which is ‘abnormal’ and ‘wild and buoyant’ and learned it. It seems to transcend the times considering that an ‘abnormal’ calligraphy has been negatively cognized in this period. ‘Abnormality’ as opposed to ‘Rightness’ broke from Neo-Confucianism. It is deserved to be evaluated that he has highly assessed an ‘abnormal’ calligraphy and concentrated on the abnormal calligraphic style. The ideal aesthetic state which Sangchon thought was the state of ‘profundity’. Therefore, he intended to wander in the nature breaking from the world to complete his life. He evaluated calligraphy and paintings in terms of ‘Way’, ‘Natural sound’ and ‘God’,and it coincided to the state of ‘profundity’ that he aimed. Sangchon’s state is the state of absolute freedom which only the people, who follow the figure of the nature, adapt the diverse changes of the nature and wander in the infinite world, can enjoy. Gyosan has actively pursued ‘qù( 趣 , aesthetic ideals or flavour)’. He dreamt of realizing a good thing in the paintings out of the world and would like to live a life through the paintings as the deceased lived a Taoistic life. However, he has been executed without practicing the aesthetic state he has pursued by getting caught into a power struggle. ‘Qù ( 趣 , aesthetic ideals or flavour)’ is the place where the people, who committed misdeed through words, actions and thoughts due to the anguish, go after dying. It should be reconsidered that words, actions and thoughts Gyosan has done was misdeed. We developed their new theories in the criticism of literati’s calligraphy and paintings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Nothing is set in stone in Chuang Tzu’s thought. They realized that they could attain eternal lives only when continuously changing themselves in denying and criticizing the existing fixed mould rather than blindly following the existing aesthetic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조선중기 『장자』수용의 양상
1.『장자』적 창작정신의 수용
2.『장자』적 비판정신의 수용
Ⅲ. 서화평론의 『장자』적 경향성
1. ‘奇’의 추구와 현실비판의 정신
2. ‘玄’의 지향과 현실초극의 경계
3. ‘趣’의 갈망과 지상낙원의 염원
Ⅳ. 마무리하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상모(Jun Sang Mo). (2015).조선중기 서화평론의 『장자』적 경향성에 관한 고찰. 서예학연구, (27), 128-161

MLA

전상모(Jun Sang Mo). "조선중기 서화평론의 『장자』적 경향성에 관한 고찰." 서예학연구, .27(2015): 128-1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