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숭덕전(殿崇德) 제기유물의 제작시기와 양식 고찰

이용수 267

영문명
A Study on the Production Date and Style of Sungdeokjeon Shrine Ritual Artifacts -Focused on the Comparison with Jongmyo Shrine Ritual Artifacts-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장경희(Jang Kyung hee)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18집 1권, 79~10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숭덕전은 신라를 건국한 박혁거세에게 제사를 드리는 사당이다. 신라시대에 국왕은 이 사당에서 즉위식을 거행하였으나 신라가 멸망하자 이곳은 폐허가 되었고, 다시 사당이 재건된 것은 조선 세종이었다. 그 이후 현재까지 매년 봄가을에 제사를 드리고 있다. 신라 시조의 사당을 숭덕전(崇德殿)으로 부른 것은 18세기 초 경종대부터였다. 현재 이곳에는 제향 때 사용할 제기가 소장되어 있는데, 본고에서는 그중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3종 5점의 제기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이것들을 조선 왕실의 종묘제기와 비교하여 제작시기 및 양식적 특징을 밝혀 보았다. 알게 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숭덕전 소장 '보(簠)' 1쌍은 1579년에 제작되었다는 명문이 새겨져 있다. 이것의 형태는 단순하고 무늬가 없어 소박한 양식을 지니고 있다. 더욱이 현존하는 왕실 제기 중 임진왜란 이전에 제작된 것이 없다. 따라서 이 유물은 조선시대 왕실 제기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제작된 유일한 사례로 역사적 가치가 매우 크다. 둘째, 숭덕전 소장 '작(爵)' 1쌍은 명문이 없고, 형태와 무늬가 조선 후기적 양식을 지니고 있다. 조선 후기 영조와 정조는 신라를 건국한 박혁거세의 제사를 체계화시킨 바 있다. 이에 이 유물은 18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숭덕전 소장 '작(勺)'은 1792년에 제기를 만들라는 기록과 부합되어 제작시기를 추정할 수 있다. 그 형태는 종묘의 용작(龍勺)과 대체로 비슷하나, 용무늬가 생략되어 있다. 이렇게 신라 국왕을 제사 드리는 숭덕전 제기와 조선 국왕을 종묘 제기를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전자의 위상은 후자와 마찬가지여서, 양자의 제기는 종별과 수량에서 일치하였다. 다만 양식적으로 전자의 것이 후자의 것보다 소박하여 신라 왕실보다 조선 왕실을 더 우월하게 여겼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숭덕전 소장 3종 5점의 유물은 미술사적 가치가 매우 높은 귀중한 자료였다. 따라서 본고가 이들 유물의 문화재 지정이나, 이 분야를 연구하는데 기여하길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Sungdeokjeon Shrine is a shine to perform ancestral rites for Park Hyeokgeose, the founding father of the Silla. The kings in the Silla Dynasty held their coronation ceremony in this shrine. But it became a ruin as the Silla Dynasty came to the ground. This shrine was rebuilt in the reign of King Sejong during Joseon Dynasty. Since then, the ancestral riteis held in every spring and fall.The shrine was named and called as Sungdeokjeon Shrine from the early 18th century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jong. The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are housed in this shrine. The items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were five artifacts of three types compared to the Jongmyo Shrine ritual artifacts of Joseon Dynasty and identified the production date and stylistic featur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n inscription that it was made in 1579 in a pair of 'Bo (簠)', the Sungdeokjeon Shrine collection. The shape of this is simple and it has no pattern in modest style. Moreover, no royal ritual artifacts manufactured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as left at present. Therefore, this artifact has a considerable significance as the only example produced in the earliest period among the royal ritual artifacts of Joseon Dynasty. Second, a pair of 'Jak (爵)', the Sungdeokjeon Shrine collection has no inscription and the shape and pattern of it is in the style of late Joseon Dynasty. The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of late Joseon Dynasty have systemized the ancestral ritual for Park Hyeokgeose the founder of Silla. Accordingly, this artifact is assumed to be produced in the late 18th century. Third, the production date for the Sungdeokjeon Shrine collection 'Jak (勺)' can be estimated correspond to the record of 1792 ordering to make utensils for ancestral rites. The shape mostly resembles 'Yongjak (龍勺)' of Jongmyo Shrine but it is without a dragon pattern. The ritual artifacts of Sungdeokjeon Shrine performing ancestral rites for the King of Silla and that of Jongmyo Shrine for the King of Joseon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 that the types and numbers were identical as the status of the former was the same as the latter. But those of former were more austere and artless than the latter demonstrating that the Joseon Dynasty was superior to the Silla Dynasty. Nevertheless, those five artifacts of three types had a highly significant value in terms of art history. Hope these artifacts to be designated as a cultural heritage as a valuable material in studying this field.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신라 시조묘(始祖廟)와 숭덕전의 역사
Ⅲ. 조선 후기 숭덕전의 제향과 제수
Ⅳ. 숭덕전 제기의 제작 시기와 양식적 특징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경희(Jang Kyung hee). (2015).숭덕전(殿崇德) 제기유물의 제작시기와 양식 고찰. 조형디자인연구, 18 (1), 79-102

MLA

장경희(Jang Kyung hee). "숭덕전(殿崇德) 제기유물의 제작시기와 양식 고찰." 조형디자인연구, 18.1(2015): 79-1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