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베르그손의 순수지속을 바탕으로 한 도자조형 연구

이용수 194

영문명
A study on ceramic sculpture based on Henri Bergson Pure Duration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천혜영(Cheon Hye young)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18집 1권, 61~7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3.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도자조형의 장르적 개념을 재해석하고, 특히 그동안 공간예술 차원에서 논의되어 왔던 도자예술의 해석을 시간예술 차원에서의 논의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도자예술의 공간에 대한 해석을 규명하였다. 공간에는 물리적 공간뿐만 아니라 심리적 공간도 있음을 사전적 의미를 통해 확인하고, 심리적 공간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시간을 포함하는 영역으로서 시간을 함의하고 있음을 추론하였다. 따라서 도자조형예술은 심리적 공간 내에서의 시간성을 바탕으로 도자 오브제를 통해 형상화되는 조형 예술의 한 부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시간성에 대한 논의를 다루었다. 베르그손이 등장하기 전까지 시간은 주로 물리적 대상으로 다루어졌다. 그러나 베르그손은 시간을 주관적 대상으로 전환하여 규명하였고 철학 및 문학 그리고 예술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순수 지속적 시간론은 존재론과 인식론으로 논의된다. 순수지속의 시간은 과거와 현재 미래의 의식 내에서 기억으로 존재하며, 직관이라는 형식을 통해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가 한데 뒤섞여 흐르는 시간으로 인식된다. 연구자는 의식과 기억으로 존재하고 직관으로 인식하는 그의 시간론을 토대로 작품활동을 해왔다. 이를 바탕삼아 도자예술의 시공간성을 규명하기 위해 연구자의 대표적인 작품 세 가지를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베르그손의 의식 속의 시간을 <월인천강지곡> 으로 형상화하였다. 둘째, 기억으로 저장된 시간을 <7:12pm at dusk>으로 작품화 하였다. 셋째, 직관을 통한 시간의 인식작용을 으로 표현하였다. 이와 같은 작품활동을 통해 시간예술로서의 도자조형예술의 확장 가능성을 규명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the genre concept of ceramic sculpture, particularly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which had been discussed at the artistic dimension of space in addition,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whether that can discuss the position at the time art level. First, the researchers defined as the interpretations of space. That there are also psychological as well as physical space, space in space identified through the dictionary definition and a psychological space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ncludes the time. That inferred. Therefore, the researcher could know that Ceramic sculpture is a part of the formative art based on the psychological place within the time. Next, the researcher examined an overview of time. Although the time had been mainly on physical objects, Bergson's theory appeared before, Bergson defined the time is subjective and that was influenced greatly to philosophy, literature and the art world. The theory of time as pure duration, epistemology and ontology to be discussed. Ontological time in pure duration, present to future memory from my consciousness. Pure duration is recognized through intuition thronged past, current and future and together. The researchers applies a consciousness, memory and intuition to be recognized as exist in his work had been working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time. Lastly, the researchers tried to identify the possibility with the researcher's works, which are treated in this part are the consciousness of time , the memory of time <7:12pm at dusk> and The cognition of time through intuition . As examined above, the researchers did attempt an interpretation as an aesthetic point of view with the ceramic sculpture, applied Bergson's the theory of pure duration, an possibility of extension as a temporal Art in ceramic sculpture.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베르그손의 순수지속이란 무엇인가?
Ⅲ. 작품연구 및 분석
Ⅳ.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천혜영(Cheon Hye young). (2015).베르그손의 순수지속을 바탕으로 한 도자조형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8 (1), 61-77

MLA

천혜영(Cheon Hye young). "베르그손의 순수지속을 바탕으로 한 도자조형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8.1(2015): 61-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