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별대처의 이중과정모델에 기초한 배우자 사별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연구

이용수 2269

영문명
Psychological Well-being of Widowed in Later Life: Based on the Dual Process Model of Coping with Bereavement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장수지(Chang, Sujie)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35권 3호, 589~60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8.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Stroebe와 Schut(1999)의 사별대처의 이중과정모델에 기초하여 배우자 사별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심리사회적 특성이 이중대처를 거쳐 심리적 안녕감에 이르는 경로를 분석하는 것이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도출된 인구사회학적 요인(성별, 사회경제적 수준, 학력, 사별기간)와 심리사회적 요인(사회적 지지, 사별 전 결혼만족도)이 애착대상 상실에 대한 상실중심대처와 사별의 이차적 스트레스에 대한 회복중심대처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쳐 심리적 안녕감에 이르는 가설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배우자와 사별한 60대 이상의 노인 308명을 대상으로 사별적응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가설모형에 대한 경로분석 결과, 가설모형의 경로 일부가 유의미하지 않았고, 전체 모형의 적합도도 높지 않았다. 따라서 모형을 수정하여 재분석한 결과, 모형적합도가 충분한 수준으로 높아졌으므로 이를 최종모형으로 채택하였다. 최종모형은 ‘사회경제적 수준, 사별 전 결혼만족도→상실중심대처→심리적 안녕감’의 경로와 ‘성별, 학력, 사회경제적 수준, 사회적 지지→회복중심대처→심리적 안녕감’의 경로로 구성되었다. 다음으로, 배우자 사별에 대한 이중과정대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사회적 요인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개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사별적응의 제 영향변수가 사별대처의 이중과정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쳐 현재의 적응 상태로 이어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문적으로는 향후 사별연구에서 사별적응과정에서 사별에 대한 일차적 및 이차적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를 구분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으며, 실천적으로는 두 가지 스트레스에 대해 서로 다른 개입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pathways from socio-demographic and psycho-social factors, through the dual process of bereavement coping to psychological well-being of widowed older adults, based on the dual-process model of coping with bereavement(Stroebe & Schut, 1999). The hypothetical model described that the socio-demographic and psycho-social factors derived from the previous study had a different effect on "loss-orientation" as coping of loss and "restoration-orientation" as coping of secondary stress, and the dual processes were related into psychological well-being. A survey of 308 widows and widowers(60+) was conducted.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path analysis of the hypothetical model showed that some path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fit of model was also not high. Therefore, the result reanalyzed by modified model indicated the fit of model was high enough to have adopted it as the final model. The pathways of the final model as follows; (1)socioeconomic status(SES), marital satisfaction→ loss-orientation→psychological well-being, (2)gender, SES, education, social support→restoration orientation→psychological well-being. Next, dual process coping had full medi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artial medi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factor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bel's test supported the significant mediation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s that the predictors of bereavement adaptation have different effect on the dual coping processes that lead to th current adaptation. Therefore, primary and secondary stress on spousal loss should be separatively discussed in bereavement adaptation process, and the differentiated practical intervention for two types of stress would be desirable.

목차

I.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수지(Chang, Sujie). (2015).사별대처의 이중과정모델에 기초한 배우자 사별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연구. 한국노년학, 35 (3), 589-608

MLA

장수지(Chang, Sujie). "사별대처의 이중과정모델에 기초한 배우자 사별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연구." 한국노년학, 35.3(2015): 589-6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