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영자지분율과 자산횡령
이용수 118
- 영문명
- The share holdings ratio of manager and Asset Embezzlement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배한수(Bae Han Soo)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 第30卷 第2號, 347~370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5.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상장 대기업의 대규모 자산횡령 사건이 연이어 발생되어 이해관계자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횡령 이후 적발을 회피하기 위한 재무제표의 의도적 왜곡 표시가 뒤 따를 수 있으므로 회계학 분야에서도 횡령은 연구의 필요성이 높은 분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기업에서 발생된 횡령을 전통적 대리인 이론의 소유와 경영의 분리로 설명할 수 있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소유와 경영이 분리될수록, 즉 경영자지분율이 낮은 기업에서 횡령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이는 소유와 경영의 분리로 인한 대리인 문제로 횡령이 발생하고 있음에 대한 실증적 증거로 볼 수 있다. 둘째, 기업특성과 관련하여 규모가 크고, 부채비율과 매출채권비율이 높으며, 수익성이 낮은 기업일수록 횡령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셋째, 감사인의 규모는 횡령사건 발생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영자가 횡령에 교묘하고 다양한 수법을 이용하여 횡령 이후에 고품질의 외부감사에 의한 적발위험을 낮게 평가하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회계감사기준 적용지침에서 횡령으로 인한 재무제표 왜곡을 외부감사에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명시하고 있음에도 감사인의 규모와 관련 없이 외부감사에 이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횡령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후속연구에 전통적 대리인 이론에 입각하여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다. 또한 횡령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기업의 특성을 소유와 경영의 분리정도와 일부 기업특성 및 감사인 규모 측면에서 실증적 증거를 제공하여 향후 횡령 근절을 위한 방안 모색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Recently, asset embezzlement scandals have been frequently taking place in Korean listed firms, which has brought severe demage on firm’s interested groups. Especially, the manager who misappropriated firm’s asset has a motive to distort financial statement to avoid exposure of embezzlement. So,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embezzlement in accounting research field. But, there are a few recent papers.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whether a separation between capital and management brings an embezzlement in Korean firm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embezzlement may occur from firms with 1) stronger separation between capital and administration(the lower share holdings ratio of manager, 2) higher size, ratio of liabilities to asset, ratio of accounting receivables to inventories, 3) lower ratio of net income to asset. Second, auditor size has a non-significant effect on embezzlemen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give the future studies about Korean firm’s embezzlement theoretical background in the traditional agency theory. And besides, these results offers useful empirical evidences about divergence between capital and administration characteristics of firms that have higher probability on occurring embezzlement.
I hope these results will be used beneficially for policy makers to make a regulations for protecting firm and firm’s interested groups from asset embezzlement.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의 검토 및 가설설정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슈퍼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
- 기타포괄손익의 기업가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지식공유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재분류 가능/ 불가능 기타포괄손익의 가치관련성
- 원가행태에 따른 기업 조세전략의 차별적 선택
- 특허분석을 통한 자동차부품 융합기술의 현황 및 발전방안
- 일과 생활의 균형(WLB)이 비서직종사자의 혁신행동과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소유지배권괴리와 투자기회
- 경영자지분율과 자산횡령
- 목표성향의 개념 정립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
- 코스닥 상장폐지기업의 이익조정행태에 관한 실증연구
- 지역신용보증 재원 안정성에 관한 연구
- 변액보험 및 주식관련 펀드에 주식수익률이 미치는 영향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종업원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직여유가 기업명성에 미치는 영향
- 다중경력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파생상품의 헤징성과와 자기자본비용
- 윤리적 리더십이 종업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