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윤리적 리더십이 종업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90
- 영문명
- The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on Employees' Behaviors :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Psychological Ownership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이웅희(Lee Ung Hee) 김혜경(Kim Hye kyoung)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 第30卷 第2號, 259~282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5.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관심 증가와 더불어 최근까지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고, 선행연구들은 윤리적 리더십이 종업원의 태도와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어떻게 윤리적 리더십이 종업원의 행동이나 태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한 연구들은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윤리적 리더십이 종업원의 행동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7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경로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윤리적 리더십은 심리적 소유감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업무몰입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소유감과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업무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소유감과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윤리적 리더십이 종업원의 업무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윤리적 리더십은 종업원의 심리적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업무몰입도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용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미래연구 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on work engagement, psychological ownership,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ownership and empower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work engagement.
A total of 204 cases were used in this study for empirical analysis. A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were used along with basic descriptive analysis and inter-construct correlation analysis to test the suggested 7 hypothese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thical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ownership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psychological ownership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had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ownership. Third, it was also found that psychological ownership and empower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work engagement. Based on th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vid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슈퍼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
- 기타포괄손익의 기업가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지식공유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재분류 가능/ 불가능 기타포괄손익의 가치관련성
- 원가행태에 따른 기업 조세전략의 차별적 선택
- 특허분석을 통한 자동차부품 융합기술의 현황 및 발전방안
- 일과 생활의 균형(WLB)이 비서직종사자의 혁신행동과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소유지배권괴리와 투자기회
- 경영자지분율과 자산횡령
- 목표성향의 개념 정립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
- 코스닥 상장폐지기업의 이익조정행태에 관한 실증연구
- 지역신용보증 재원 안정성에 관한 연구
- 변액보험 및 주식관련 펀드에 주식수익률이 미치는 영향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종업원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직여유가 기업명성에 미치는 영향
- 다중경력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파생상품의 헤징성과와 자기자본비용
- 윤리적 리더십이 종업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