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종업원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04
- 영문명
- High-Performance Work Systems and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The Mediating Role of a HR Department's Activities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박지성(Park Ji sung) 안성익(Ahn Sung Ik)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 第30卷 第2號, 235~257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5.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이 어떠한 경로를 거쳐 조직 효과성 제고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지 그 메커니즘 관련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인사기능의 활동에 주목하여 매개 경로를 설명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프로세스 관점에 근거하여 내용으로서의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인사부서의 활동이라는 프로세스를 거쳐 종업원들의 태도에 영향을 준다는 매개 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9년 기업 인적자본 데이터를 이용하여 471개 회사를 분석한 결과,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종업원의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인사부서의 활동이 이들 관계를 부분 매개함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훌륭한 인사제도는 그 자체로도 종업원의 긍정적 태도 형성에 도움을 주지만, 인사기능이 이를 어떻게 전달하느냐 역시 고성과작업시스템 설계 시 의도한 효과를 충분히 실현하는데 있어 중요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측면에서 제도 설계뿐 아니라, 설계된 제도를 인사기능이 조직 구성원들에게 어떻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인사기능 활동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을 본 연구는 제기하고 있다.
영문 초록
A large number of studies are increasingly growing to uncover the mechanism between high-performance work systems(HPWS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yet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path of a human resource(HR) department's activities to which researchers have pai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hus, drawing on the “process” perspective of the HR impleme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diating role of a HR department's activities i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HPWSs and employees' attitudes. In order to test our predictions, this study used 2009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HCCP) data and the analytic results of 471 firms showed that a HR activitie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PWSs and employees' attitude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findings revealed that HPWSs per se positively influenced the increases in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how a HR department delivers practices also contributed to fulfilling the intended effectiveness of HPWSs. In this respect,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how a HR department effectively delivers designed HR practices to employe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문헌연구 및 연구가설
Ⅲ. 자료와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슈퍼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
- 기타포괄손익의 기업가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지식공유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재분류 가능/ 불가능 기타포괄손익의 가치관련성
- 원가행태에 따른 기업 조세전략의 차별적 선택
- 특허분석을 통한 자동차부품 융합기술의 현황 및 발전방안
- 일과 생활의 균형(WLB)이 비서직종사자의 혁신행동과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소유지배권괴리와 투자기회
- 경영자지분율과 자산횡령
- 목표성향의 개념 정립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
- 코스닥 상장폐지기업의 이익조정행태에 관한 실증연구
- 지역신용보증 재원 안정성에 관한 연구
- 변액보험 및 주식관련 펀드에 주식수익률이 미치는 영향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종업원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직여유가 기업명성에 미치는 영향
- 다중경력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파생상품의 헤징성과와 자기자본비용
- 윤리적 리더십이 종업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