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타포괄손익의 기업가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131
- 영문명
- The Value Relevance of Other Comprehensive Income for the Financial and Insurance Business after Adopting of K-IFRS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김종철(Jong Chull Kim) 정재원(Jae Won Jeong)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 第30卷 第2號, 101~137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5.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금융 및 보험업을 대상으로 기타포괄손익의 기업가치 관련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한 검증모델은 Ohlson(1995)의 지분평가모델을 확장하여 유도한 실증적 검증모델을 이용하였다. 검증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① 기업가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포괄손익계산서에 공시된 당기순이익과 총포괄이익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산업 요인을 통제한 후에도 포괄손익계산서에 공시된 당기순이익과 총포괄이익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 기업가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기타포괄이익은 당기순이익에 추가적 설명력을 가지는것으로 나타났다.
④ 기타포괄이익의 개별항목이 기업가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한 결과, 기타포괄이익 중에서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손익, 현금흐름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평가손익, 확정급여제도보험수리적손익 등이 기업가치평가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외사업환산손익, 특별계정기타포괄손익, 기타포괄손익의 기타항목(유형자산재평가이익, 관계기업평가손익) 등은 기업가치 평가에 양(+) 또는 음(-)의 영향을 미치나 0.1 수준에서 유의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quity values of those financial and insurance companies listed on Korea Exchange and their other comprehensive incomes(losses). An empirical verification model expanded from the Ohlson’s equity valuation model(1995) was used as verification models for this study. The results verified through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① The empirical verification model expanded from the Ohlson model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et income and total comprehensive income recorded on statement of comprehensive income in terms of their correlation with equity value.
② With certain industrial factors controlled, the empirical verification model expanded from the Ohlson model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et income and total comprehensive income recorded on statement of comprehensive income.
③ The other comprehensive income was turned out to have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on the net income in explaining equity value.
④ Available-for-sale financial asset valuation gain(loss), cash flow hedging derivatives valuation gain(loss), and defined benefit plan actuarial gain(loss) among the other comprehensive income items reported in the statement of comprehensive income were found to make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he evaluation of equity value. In addition, the following items in other comprehensive income were found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n equity value, but not significant at 0.1 level : Overseas business translation gain(loss), special accounts' other comprehensive income(loss), other items of other comprehensive income[asset revaluation gain(loss), Share of other comprehensive income of associates and joint ventures accounted for using equity method], and so 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의 검토
Ⅲ. 가설설정 및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슈퍼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
- 기타포괄손익의 기업가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지식공유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재분류 가능/ 불가능 기타포괄손익의 가치관련성
- 원가행태에 따른 기업 조세전략의 차별적 선택
- 특허분석을 통한 자동차부품 융합기술의 현황 및 발전방안
- 일과 생활의 균형(WLB)이 비서직종사자의 혁신행동과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소유지배권괴리와 투자기회
- 경영자지분율과 자산횡령
- 목표성향의 개념 정립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한 제언
- 코스닥 상장폐지기업의 이익조정행태에 관한 실증연구
- 지역신용보증 재원 안정성에 관한 연구
- 변액보험 및 주식관련 펀드에 주식수익률이 미치는 영향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종업원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직여유가 기업명성에 미치는 영향
- 다중경력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파생상품의 헤징성과와 자기자본비용
- 윤리적 리더십이 종업원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