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세르보크로아티아어 후속 언어들의 현 상황 연구

이용수 59

영문명
The Current Aspect of the Post-Serbocroatian Languages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저자명
권혁재(Hyok Jae Kwon)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연구』동유럽발칸연구 제39권 2호, 3~3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4.25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다민족, 다종교, 다언어 연방이었던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 연방(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을 지탱하였던 것은 정치적으로는 티토(Josip Broz Tito)의 '유고슬라비즘(Yugoslavism)'과 문화적으로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serbocroatian)'를 통한 단일 언어정책(language policy)이었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는 연방의 모든 민족이 유고인(남슬라브인)이라는 동일한 정체성을 지니게 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구유고연방의 붕괴는 정치적인 유고슬라비즘의 종말뿐만 아니라 이를 지탱하였던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종말을 의미하였다. 연방의 해체이후 신생 공화국들이 즉각적으로 민족주의에 기초한 언어정책을 통해 독자적인 민족어 정립을 추진한다. 하나의 민족을 특징짓고 구별하는 여러 기준 중 언어가 가지는 상징성은 발칸지역에서 그 어떤 기준보다 크다. 발칸 민족주의의 특징이 동일한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을 하나의 공동체로 규정하고 이를 민족으로 정의하는 것이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후속 언어라 할 수 있는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로어는 지난 20년이 넘는 세월동안 서로간의 차별화를 목표로 변화해 왔다. 이 연구는 동일한 방언군에 기초하고 있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 후속 언어들이 어떤 원칙을 통해 변화해왔는지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이와 함께 20년이 지난 현재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로어의 언어적 차이를 체계적으로 비교 평가해 보았다.

영문 초록

What supported the multicultural, multireligious, and multilingual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were politically Josip Broz Tito's Yugoslavism and culturally single language policy using Serbo-Croatian. Serbo-Croatian highly contributed to give all nations of the Federal a single identity as a South Slavs. The collapse of the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meant the end of not only the political Yugoslavism but of the Serbo-Croatian which had been supported the Federal. Immediately after the collapse of the Federal, new republics promoted establishing their own national language through the nationalism-based language policy. In the Balkans, the symbolism of languages is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criteria for characterizing and distinguishing a nation. A specific trait of the Balkans is determining the same language users as a group and defining it as a nation. Over the past twenty-some years, Serbian, Croatian, Bosnian, and Montenegrin considered as succeeding languages of Serbo-Croatian have been changed for distinguishing each other. This study comprehensively organized the language change principles of the same dialect group-based successors to Serbo-Croatian. In addition, this study systematically compared and evaluated the language differences of the current Serbian, Croatian, Bosnian, and Montenegrin 20 years after the collapse of the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목차

<국문개요>
1. 들어가는 말
2. 세르보크로아티아어 후속언어들의 현 상황
3.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혁재(Hyok Jae Kwon). (2015).세르보크로아티아어 후속 언어들의 현 상황 연구. 동유럽발칸연구, 39 (2), 3-30

MLA

권혁재(Hyok Jae Kwon). "세르보크로아티아어 후속 언어들의 현 상황 연구." 동유럽발칸연구, 39.2(2015): 3-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