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석기시대 중기 호서지역 수렵채집 집단의 이동 양상 연구

이용수 520

영문명
A study on the mobility strategy in Hoseo region of Korea during 3500~3000 cal BC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Kim Eun Young(金殷暎)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85호, 5~3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반도 신석기시대 집단의 이동 양상에 대한 논의는 주로 패총 유적이 확인되는 해안 및 도서 지역에 집중되어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한반도 신석기시대 문화가 아직 본격적인 농경 및 완전한 정착이 이루어지기 전 단계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연구는, 해안과 내륙에 분포하는 유적 전반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더불어 주거지의 크기나 형태, 특정 도구의 유무와 같은 한정된 자료의 몇 가지 제한된 속성에 의지하기보다는, 해당 시기 이동 및 점유 양상을 반영하는 각종 고고 자료를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그 결과를 통합적으로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수렵채집민의 이동과 물질 문화간 관계에 대한 민족지적, 고고학적 논의를 토대로 하여, 신석기시대 한반도 해안 및 내륙 지역의 점유 및 이동 전략 연구에 유용한 자료로 취락과 주거지, 그리고 석기 조성 양상을 선정하고 그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가운데에서도 특히 석기 조성 양상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간 이루어진 석기 유형의 다양도 분석뿐만 아니라 석기의 제작 및 사용에 운용된 석기 제작체계에 대한 고찰 역시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석기 제작 체계의 파악을 위해서는 기존 석기 유형의 다양도 분석에서'기타 석기'로 일괄 배제되어온 각종 석기의 양상을 적극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기타 석기'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박편석기와 석기 제작중도품, 석재로 구분하고, 이러한 각 자료가 어떤 석기 제작 체계를 반영하며 또한 어떠한 이동 및 점유 전략과 연관될 수 있는지 고찰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을 신석기시대 중기(3500~3000 cal BC)에 해당하는 호서 해안 및 내륙 지역의 11개 유적에 적용하여 유적의 점유 양상 파악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각 지역에서 운용된 이동 전략을 추정해 보았다. 그 결과, 자원조달 이동의 근거지적 성격을 보이는 유적이 내륙과 해안 지역 모두에서 확인된 것과 다르게, 높은 주거 이동성을 보여주는 단기거주지 유적은 주로 내륙 지역, 자원조달 이동을 위해 일시적으로 점유된 가공 유적은 주로 해안 지역에 분포하는 양상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unter-gatherer's mobility pattern in Hoseo region, the mid-we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during 3500~3000 cal BC. In order to yield more robust inferences, a holistic approach is employed to investigate various kinds of archaeological record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Settlement pattern, pit-house inner structure, lithic variability and organization of stone tool technology were analyzed to consider the anticipated mobility as well as actual mobil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se archaeological materials, the 11 sites of Hoseo region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sites: base camps of the logistical mobility strategy, residence camps of the residential mobility, and the specialized task-oriented field camps or locations of both strategies. The base camps which show relatively long anticipated mobility are found at the coastal area as well as the inland area. On the other hand, the residence camps of residential mobility strategy and the specialized task-oriented field camps of the logistical mobility strategy are mainly found at the inland area and costal area,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possibility was proposed that the Neolithic hunter-gatherer of Hoseo region had employed the different mobility strategi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variabl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수렵채집민의 이동 양상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모색
Ⅲ. 호서지역의 신석기시대 중기 유적 양상
Ⅳ. 신석기시대 중기 호서지역 수렵채집민의 이동 전략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Kim Eun Young(金殷暎). (2014).신석기시대 중기 호서지역 수렵채집 집단의 이동 양상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85), 5-34

MLA

Kim Eun Young(金殷暎). "신석기시대 중기 호서지역 수렵채집 집단의 이동 양상 연구." 한국상고사학보, .85(2014): 5-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