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대 한반도에 들어온 유리의 고고, 역사학적 배경

이용수 899

영문명
The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glass import into ancient Korea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권오영(Kwon Oh young)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85호, 135~15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반도 서남부의 초기철기시대 유적에서 많이 발견되는 푸른색 유리 관옥은 그 산지가 중국 남부-동남아시아일 가능성이 크다. 원삼국기 분묘에서 많이 출토되는 홍갈색의 작은 유리구슬과 금(은)박 유리구슬은 마한권역에서 출토되는 빈도가 높은데 인도나 동남아시아가 그 산지로 추정되고 있다. 마한 권역에서는 홍갈색 유리구슬과 남청색 유리구슬의 출토빈도가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유리구슬의 유통망이 복수로 존재하였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신라고분 출토 유리 용기에 대해서는 박트리아산이라는 주장이 제기된 상태인데 당시 박트리아지역이 사산조 페르시아의 영토였다는 점, 주변의 쿠샨, 키다라, 소그드의 역할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가야지역출토 유리용기는 바닷길을 통한 것, 신라를 경유한 것이 공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유리구슬은 인도-동남아시아-중국-한반도-일본열도로 이어지는 바닷길을 통해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신라와 백제와 가야, 일본이 모두 공통적이다. 따라서 고대 한반도에서 출토되는 유리 용기, 구슬의 산지와 유통망을 추적하는 작업은 초원길, 오아시스길, 바닷길 등을 무대로 교섭한 다양한 세력들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re is high possibility that the bluish tubular glass beads excavated from sites of the Early Iron Age in the South-east area of Korean peninsula had come from South China and Southeast Asia. Reddish brown glass beads and gold(silver) foil glass beads from grave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are often found around Mahan Area, and they are assumed to be from India or Southeast Asia. In Mahan Area, the frequency of the reddish brown and bluish glass beads being excavated differs depending on the area. This can prove that there might have been multiple distribution networks of glass beads. There has been assertion that the glass containers of Silla period are from Bactria. At the same tim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fact that Bactria area was part of Sassanid Persian territory and the influence from the neighboring areas, Kushan, Kidara, Sogd. Glass containers of Gaya period have been considered to have flowed through Maritime Route and Silla area. It is most likely that glass beads excavated from Silla, Baekje, Gaya and Japan were imported through Maritime Route. Hence, the research on the producing area and distribution network of glass container and glass beads excavated from ancient Korean peninsula has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studies on the correlation of the powers across the Steppe Route, Oasis Route and Maritime Route.

목차

요약
Ⅰ. 머리말-기존 연구의 문제점
Ⅱ. 초기철기~원삼국시대 유리의 제작지와 반입 경로
Ⅲ. 삼국시대 유적 출토 유리의 제작지와 반입 경로
Ⅳ. 유리에 나타난 동서 교섭의 경로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오영(Kwon Oh young). (2014).고대 한반도에 들어온 유리의 고고, 역사학적 배경. 한국상고사학보, (85), 135-159

MLA

권오영(Kwon Oh young). "고대 한반도에 들어온 유리의 고고, 역사학적 배경." 한국상고사학보, .85(2014): 135-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