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산동지역과 요동지역의 문화교류

이용수 377

영문명
Cultural Exchanges between Shandong and Liadong Areas -Centering on Fan-Typed Axe Newly Discovered from Shandong Area-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박준형(Park Jun Hyoung)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79호, 39~6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2.25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산동지역에서 발견된 선형동부(扇形銅斧)를 중심으로 지석묘와 석관묘유적을 고려하여 산동지역과 요동지역 간의 교류 양상을 복원해 보고자 했다. 남장산도의 장도현 왕구촌유적과 용구시 귀성유적에서 선형동부와 용범이 수습되었다. 이들은 요동지역 전기비파형동검문화의 전형적인 동부와 유사한 것으로, 대체로 기원전 8~6세기로 편년된다. 영성ㆍ유산ㆍ문등 등지에서 발견된 지석묘ㆍ석관묘는 요동지역 쌍방유형의 묘제였다. 이런 점에서 산동지역의 비파형동검문화요소는 요동지역의 쌍방(雙房)유형, 즉 예맥(족)과 관련이 있는 것이었다. 산동지역에 나타난 전기비파형동검문화 요소는 주로 교동반도에 분포하는데 이곳은 기원전 567년에 래국(萊國)이 멸망되기 이전까지 그의 영향력이 미치는 곳이었다. 따라서 교동반도에 보이는 비파형동검문화 요소는 래이(萊夷)와 요동지역의 예맥과의 관계 속에서 유입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선형동부가 출토된 묘도열도의 남장산도는 양쪽을 이어주는 가교역할을 했으며, 용구시 귀성은 교동에서 제(齊)의 임치로 가기 위한 관문이자 래국의 도성이 있던 곳이다. 석관묘와 지석묘의 분포지인 영성과 유산ㆍ문 등 일대는 남중국과 북중국을 연결하는 해상교통상의 중요한 거점이었다. 이처럼 산동지역에 분포된 비파형동검문화 요소는 교통로상의 중요거점과 관련이 된다. 전기비파형동검문화 단계에 고조선의 중심은 대릉하유역의 조양지역에 있었다. 이 고조선이 산동의 제와 문피교류를 하기 위해서는 예맥과 래이의 교류망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 후기비파형동검문화 단계에 요동지역의 정가와자유형이 고조선의 중심으로 부상하게 되고, 제는 교동반도의 래이를 장악하게 되었다. 이로써 고조선과 제의 교류는 각각 예맥과 래이의 교류망을 흡수하면서 쌍방간의 직접적인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ed to examine exchange aspects between Shandong(山東) and Liadong(遼東) areas based on a fan-typed axe(扇形銅斧) discovered from the Shandong area, while considering the remains of dolmens and stone coffin tombs there. The fan-typed axe and its mold were found and restored from the remains at Wanggou(王溝) village and the ruins at Guicheng(歸城) in Longkou(龍口) city. They were similar to a typical bronze axe of Early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琵琶形銅劍文化) in Liadong area and thought to be traced far back to the 6th to 8th century B.C. in a chronicle. Dolmens and stone coffin tombs found around Rongcheng(榮成), Rushan(乳山) and Wendeng(文登) served for Shuangfang-typed(雙房類型) ancestral rites held before the grave in Liadong area. In this respect, the element of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in Shandong area is considered to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Shuangfang type of Liadong area, that is, Yemek (race)(濊貊). The element of Early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appearing in Shandong district was mainly distributed on the Jiaodong(膠東) peninsula where had been under the influence of State Rai(萊國) until its collapse in 567 B.C. Therefore, it is indicated that the element of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displayed on the Jiaodong peninsula was introduced through its relationship with Raiyi(萊夷) and Yemek in Liadong district. The island of Nanchangshan(南長山) of Miaodaoliedao(廟島列島), from which the fan-typed axe was unearthed, served as a bridge between two parties. At that time, Guicheng in Longkou cit was not only a gateway to Linzi(臨淄) of State Qi(齊國) from Jiaodong but also a capital city of State Rai. Districts ranging from Rongcheng to Rushan & Wendeng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sea traffic base between North China and South China. Therefore, the element of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distributed around Shandong area was related to its key position in traffic routes there. In the stage of Early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the center of Gojoseon(古朝鮮) was located at Zhaoyang(朝陽) of Dalinghe river(大凌河) basin. At that time, Gojoseon had no choice but to access an exchange network of Yemek and Raiyi in order to exchange figured leather with Qi(齊) of Shandong. Afterwards, in the stage of Later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Culture, Zhengjiawazi type(鄭家漥子類型) of Liadong area rose to prominence as the nucleus of Gojoseon and Qi had control over Raiyi on the Jiaodong peninsula. By doing so, Gojoseon and Qi came to engage in direct exchanges between two parties while they were absorbing exchange networks of Yemek and Raiyi respectively.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산동지역 비파형동검문화 요소의 검토
Ⅲ. 산동지역 비파형동검문화 요소와 요동지역 쌍방유형과의 관계
Ⅳ. 산동지역 萊夷와 齊의 관계
Ⅴ. 산동지역과 요동지역의 교류 양상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준형(Park Jun Hyoung). (2013).산동지역과 요동지역의 문화교류. 한국상고사학보, (79), 39-68

MLA

박준형(Park Jun Hyoung). "산동지역과 요동지역의 문화교류." 한국상고사학보, .79(2013): 39-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