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欣岩里式土器發生의 再檢討

이용수 513

영문명
Re-examination of Formation of Heunam-ri type pottery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Song Man young(宋滿榮)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79호, 5~3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2.25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欣岩里式土器의 발생과 관련하여 두 가지 서로 다른 인식이 있다. 하나는 계보가 다른 두 토기 양식이 특정 지역에서 융합하여 흔암리식 토기가 발생하고 이후에 남한 전역으로 확산되었다는 견해와 다른 하나는 남한 여러 지역에서 흔암리식 토기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했다고 보는 견해이다. 괮型이 주민집단을 반영하는 고고학적 분석 단위라고 할 때, 전자의 관점에서는 남한 전역 단위의 欣岩里괮型설정이 가능하지만, 후자에서는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 이 글은 후자의 관점에서 작성되었는데, 지역적으로 다른 흔암리식 토기의 발생 배경을 구명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이를 통해 흔암리식 토기가 출토된 유물ㆍ유구복합체의 형성과 시공간적 분포를 살펴보았다. 남한 청동기시대 발생기의 지역권은 크게 가락동유형이 분포한 남한 서부 지역과 영남 내륙, 그리고 미사리유형이 분포한 영서지역과 남강유역 등으로 구분된다. 이 지역에서의 흔암리식 토기의 발생은 공렬토기라는 외래적 요소의 출현에 따른 것인데, 흔암리식 토기의 전국적인 분포에도 불구하고 가락동유형 분포권 가운데 경기 남부와 아산만 지역에서만 흔암리유형으로 인정할 만한 유물ㆍ유구복합체가 확인되었다. 그렇지만, 흔암리유형의 표지가 되었던 흔암리유적은 실제 경기 남부와 아산만 지역의 유물ㆍ유구복합체를 반영하지 않기에 대안으로 백석동유형을 제안하였다. 미사리유형이 분포한 영서 지역에서는 미사리→조동리→천전리유형으로의 계기적 변화가 관찰되었는데, 이 지역의 흔암리식 토기는 조동리유형 단계에 미사리계 이중구연토기와 공렬토기가 결합하여 발생하였다. 백석동유형과 조동리유형의 공간적 분포는 임진강 상류 지역에서 한강 본류, 그리고 남한강을 연결하는 선에서 접점을 이루며, 이와 같은 관점에서 소위 흔암리유형의 표준 유적이었던 흔암리유적의 성격은 조동리유형에 보다 가까울 것으로 이해하였다.

영문 초록

There are two different perceptions of formation of Heunam-ri type earthenware: One is that two pottery styles with different lineage were mixed in a particular area and transformed into Heunam-ri type earthenware and spread all over south Korea later on; the other one is that Heunam-ri style occurred simultaneously from several parts of south Korea. If assemblage is one of archaeological units of analysis reflects inhabitants, it is possible to set Heunam-ri assemblage throughout the south Korea from the former but latter does not accept. This article written from the latter focuses on investigating background of occurrence of Heunarm-ri type pottery with geographically different background. In addition by doing so formation and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Heunam-ri assemblage. Area in south Korea around the start of Bronze Age is divided into two: south Korea's west region with Garak-dong assemblage and south Korea's east region with Misa-ri assemblage. In these regions the formation of Heunam-ri type pottery was due to the emergence of foreign element of rimperforated pottery. In spite of nationwide distribution of Heunam-ri type pottery, Heunam-ri assemblage relics and remains complex were only discovered in south Gyeonggi and Asan Bay regions within region with Garak-dong assemblage. Change from Misa-ri to Jodong-ri and then Cheonjeon-ri assemblages was observed in the west side of Daegwal-ryeong with Misa-ri asemblage. In these regions Heunam-ri type pottery was formed in the phase of Jodong-ri assemblage by combining double rimed pottery of Misa-ri origin and rim-perforated pottery. Distribution of Heumam-ri and Jodong-ri assemblages forms contact points on the line to connect the upper Imjin rive, the main stream of Han river and the Namhan river. In this respect my understanding is that characteristics of Heunam-ri site, a standard site of Heunam-ri assemblage, is closer to Jodong-ri assemblage than to Heunam-ri assemblage.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欣岩里式土器發生의 두 地域圈
Ⅲ. 欣岩里式土器의 發生과 白石洞괮型
Ⅳ. 地域別欣岩里式土器의 發生과 展開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Song Man young(宋滿榮). (2013).欣岩里式土器發生의 再檢討. 한국상고사학보, (79), 5-38

MLA

Song Man young(宋滿榮). "欣岩里式土器發生의 再檢討." 한국상고사학보, .79(2013): 5-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