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동기시대 마제석촉 제작공정의 복원

이용수 227

영문명
Reconstruction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tone Arrowheads in the Korean Bronze Age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Shoda Shinya(庄田愼矢) Umezaki Keiji(梅崎惠司) Ji Min joo(池珉周) Nagai Kenji(長井謙治) Yuhara Masaki(柚原雅樹)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79호, 145~16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2.2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서산 신송리유적에서 확인된 마제석촉 제작 관련유물에 대한 관찰과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청동기시대 마제석촉 제작공정의 복원을 시도하였다. 우선 청동기시대 석촉 제작공정에 대한 선행연구를 정리하였으며, 수는 많지 않지만 유물관찰에 기초한 구체적인 공정복원 연구와 취락유적에서 유구와 관련시켜 제작조직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신송리유적 출토 석촉제작 관련유물을 크게 소재와 도구로 나누었으며, 전자를 원석과 장방형소재, 미완성품으로 후자를 대석과 고타구, 지석으로 각각 세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석기 소재로 이용된 원석에 대해서는 유적 출토 박편과 주변 채집 석재에 대한 암석학적 분석을 통해서 당시인들이 유적 주변 소하천에서 원석을 조달했을 가능성이 높은 점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위 내용을 종합하여 원석의 획득 > 소재 성형 > 고타 / 거친 연마 > 정밀한 연마라는 제작 순서와 각 단계에 속한 유물들을 단계별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한반도 내부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을 포함한 넓은 지역에서 석기제작 전통을 비교연구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reconstruc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tone arrowheads in the Korean Bronze Age based on the observation and analysis of artifacts unearthed at Sinsongri, Seosan prefecture. Following a review of earlier studies on this topic, the authors describe the character of artifacts using in arrowhead production, including both raw material and tools. Raw materials used comprise raw stone material, retouched regularly shaped material and unfinished stone arrowheads. Three types of tools are recognized: anvil stones, soft percussion tools and grinding ston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etrological comparison between flakes from an identified workshop and river pebbles collected 600m away from the Sinsongri site, raw stone material is considered to be gathered near the Sinsongri village. Furthermore, the production process of stone arrowheads is divided into four stages: 1) gathering stone raw material; 2) knapping regularly shaped material using bipolar flaking; 3) soft percussion and rough grinding; 4) fine grinding. Finally, we stress that the reconstruction of manufacturing processes play an important role in studying the circulation of stone tools and the structure of the Bronze Age social network, not only inside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on the Chinese continent and Japanese islands.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청동기시대 마제석촉 제작에 관한 선행연구
Ⅲ. 서산 신송리유적에서 출토된 마제석촉 제작 관련유물
Ⅳ. 서산 신송리유적에서 출토된 석재의 산지추정
Ⅴ. 마제석촉 제작공정의 복원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Shoda Shinya(庄田愼矢),Umezaki Keiji(梅崎惠司),Ji Min joo(池珉周),Nagai Kenji(長井謙治),Yuhara Masaki(柚原雅樹). (2013).청동기시대 마제석촉 제작공정의 복원. 한국상고사학보, (79), 145-162

MLA

Shoda Shinya(庄田愼矢),Umezaki Keiji(梅崎惠司),Ji Min joo(池珉周),Nagai Kenji(長井謙治),Yuhara Masaki(柚原雅樹). "청동기시대 마제석촉 제작공정의 복원." 한국상고사학보, .79(2013): 145-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