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 고고학사의 시기 구분 체계에 대하여

이용수 355

영문명
Establishing Phases for the Development of Archaeology in North Korea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한창균(Han Chang gyun)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79호, 181~214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2.25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09년 북한의 사회과학원 소속 고고학연구소에서 발행한'조선고고학총서'(전 60권)의 제1권은『총론』이라는 제목으로 간행되었다. 이『총론』에는 해방 이후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북한 지역에서 이룩된 고고학적 사업의 성격과 그에 따른 성과가 종합적으로 집약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북한 고고학사의 시기 구분 체계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내용이 서술되어 있어 주목된다. 『총론』에서 채택하고 있는 시기 구분 체계에 따르면, 현재의 북한 고고학은 해방 이후부터 오늘에 이르는 동안 7단계의 변화 과정을 거치며 발전해온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총론』에서 언급된 북한 고고학사의 시기 구분은 정치적 사건이나 변동, 예를 들어 정전협정, 조선노동당 대회, 김일성 사망, 김정일 정치 체제의 출범 등과 같은 당시의 정치사회적 상황과 매우 긴밀하게 연동되어 체계화되었고, 이러한 요소들은 북한 고고학의 성립 과정을 고찰하는데 있어 특징적인 역할을 한다. 특히 1970년대부터는 주체사상의 확립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의 일환으로 고고학 연구 사업의 주요 방향과 과업을 설정하는 경향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 결과, 북한 고고학에 내재되어 있는 기본적인 논리는 하나같이 주체사상과의 일관된 접목을 통하여 전개되어 왔다. 현대 북한 고고학의 성립 과정에서 관찰되는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는 과거의 물질문화를 연구하는데 활용되었던 방법론적인 근거가 시기에 따라 변화되었다는 것이다. 넓은 의미에서 파악한다면, 그러한 변화는 맑스-레닌주의적 방법론에서 주체적 방법론으로의 전환 및 심화라는 과정을 거치며 초래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변화를좀더세분하면," ①맑스-레닌주의적방법론적용의모색단계, ②맑스-레닌주의적방법론에서 주체적 방법론으로의 전환 단계, ③ 주체적 방법론에 의한 북한 고고학 체계의 확립 단계, ④ 단군릉 발굴과 개건으로 상징되는 변혁 단계"로 구분된다. 그리고 북한 고고학사의 편년적인 틀에서 그와 같은 각 단계의 성격을 이해할 때, "첫째 단계는 초기의 북한 고고학(1945~1953), 둘째 단계는 형성기의 북한 고고학(1954~1970), 셋째 단계는 확립기의 북한 고고학(1971~1992), 넷째 단계는 변혁기의 북한 고고학(1993~현재)"에 각각 해당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2009, the Institute of Archaeology affiliated with the North Korean Academy of Social Sciences published the' Joseon Archaeology Series'(Joseon Gogohak Chongseo), consisting of 60 volumes. The first volume of this series, entitled Introduction, present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that have taken place in North Korea from the time of liberation to the mid 2000s, as well as the results that have emerged from these findings. Also included in this first volume is information crucial to understanding the way in which North Korean archaeologists have established phases for the development of archaeology in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framework adopted in the Introduction volume, the discipline of archaeology in North Korea can be seen to have experienced a seven-phase process of development since liberation. The phases presented in the Introduction volume for the development of archaeology in North Korea are closely associated with socio-political events or changes, such as the Armistice Agreement, the Congress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the death of Kim Il-sung, and the launching of Kim Jong-il's political regime; these provide key insights into understanding the process by which North Korean archaeology came to develop. In particular, since the 1970s, there has been a marked tenancy to adjust the direction and aims of North Korean archaeology so that it may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Juche idea. As a result of this, the fundamental logic permeating all archaeological research in North Korea has been the consistent application of the Juche idea to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An important feature that may be observed regarding the process of development for North Korean archaeology is the fact that the methodological approaches adopted for the study of past material culture have changed over time. This change may broadly be understood as a transition from a Marxist-Leninist based approach to a Juche based approach and an intensification of the latter. Examined more closely, this change can be seen to have been comprised of the following four phases: ① an exploratory phase in which the Marxist-Leninist based approach was adopted, ② the phase in which the transition from a Marxist-Leninist based approach to a Juche based approach took place, ③ the phase in which the North Korean archaeological framework, with its basis in the Juche based approach, came to be firmly established, and ④ the phase of transformative change, symbolized by the excava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Dangun tomb.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North Korean archaeology, these phases can be seen to represent, respectively, the following stages in the development of the discipline: the early stage of North Korean archaeology (1945~1953), the formative stage of North Korean archaeology (1954~1970), the establishment stage of North Korean archaeology (1971~1992), and the transformative stage of North Korean archaeology (1993~the present).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북한 고고학계의 시기 구분
Ⅲ. 시기 구분론의 검토와 과제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창균(Han Chang gyun). (2013).북한 고고학사의 시기 구분 체계에 대하여. 한국상고사학보, (79), 181-214

MLA

한창균(Han Chang gyun). "북한 고고학사의 시기 구분 체계에 대하여." 한국상고사학보, .79(2013): 181-2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