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성영화 전환기의 매체역학과 「천변풍경」에 나타난 영화적 글쓰기

이용수 535

영문명
The Media Dynamics of the Turning point in Talkie and the Cinematic Writing Appeared in the Scenery of a riverside
발행기관
구보학회
저자명
이광욱(Lee Kwang Ouk)
간행물 정보
『구보학보』11집, 171~218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어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박태원의 「천변풍경」에 적용된 영화적 기법의 양상을 밝히고 자 한 연구이다 「천변풍경」. 의 영화적 기법에 주목했던 기존의 논의들은 카메라의 기계적 속성에 근거하여 작품의 리얼리즘적 성격을 강조하거나 ‘몽타쥬’ 혹은 ‘이중노출’과 같은 무성영화의 방법론을 적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영화의 시각성을 강조하는 논의들은 「천변풍경」에 드러난 무수한 목소리의 양상을 충분히 해명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드러낸다. 본고는 목소리에 대한 박태원의 특유한 관심이 발성영화 제작기를 맞이하고 있던 당대 매체장의 역학적 변화와 맞물리는 가운데 「천변풍경」의 영화적 글쓰기로 나타나게 되었다는 점을 논의하고자 했다. 흔히 「천변풍경」은 뚜렷한 서사가 없는 작품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시각을 통한 관찰이 서사의 단절을 일으키고 있는 것과는 달리, 등장인물들의 구술적 의사소통을 통해 형성되는 ‘소문’이라는 장은 「천변풍경」을 구성하는 서브 스토리들에 ‘전진적 모티프’를 제공하는 핵심적인 원리가 된다. 또한 「천변풍경」의 등장인물들은 추문에 대한 윤리적 판단을 공유하는 가운데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다시 말해, 「천변풍경」에서 목소리의 재현은 카메라의 눈을 통한 관찰 못지않은 중요한 창작 방법론이었다고 할 수 있다. 박태원은 스스로 ‘이중노출’과 같은 영화적 기법에 대한 관심을 표명하기도 했으나 이는 목소리를 재현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되기 어려웠다. 순간적인 인상을 통해 인식될 수 있는 이미지와는 달리, 소리가 전달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시간적 연속성을 전제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천변풍경」에 나타난 영화 기법은 시각 정보의 연쇄 속에 발화가 자연스럽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발성영화의 연속편집 기술과 밀접한 연관을 지니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구성된 시청각적 유기체는 강력한 환영효과를 형성하게 된다. 「천변풍경」을 구성하는 장면들의 상당수가 데쿠파주의 원리를 내재한 시점 편집이나 숏과 역숏의 교차와 같은 방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은 이를 방증한다. 한편, 「천변풍경」의 논평적 서술자는 카메라의 기계적 재현성과 모순관계를 이루는 존재로 인식되어 왔으나, 본고는 오직 목소리로만 존재하는 내레이터의 성격을 부각시킬 수 있었던 발성영화와의 관련 속에서 서술자의 특유한 성격을 해명하고자 했다. 음성존재의 아쿠스마티크한 목소리에 내재된 전지전능함은 「천변풍경」에서 등장인물보다 거시적인 ‘시-청점’을 가지는 한편, ‘천변’의 서사를 논평할 수 있는 서술자의 능력으로 드러나게 된다. 그러나 그 서술자의‘시-청점’은 천변의 경계를 벗어나지 않으며 논평 행위 역시 상식적인 수준을 넘어서지 않는다. 본고는 「천변풍경」의 서술자가 안도 밖도 아닌 곳에 머물고 있다는 점에서 발성영화의 내레이터와 유사한 양상을 띤다는 점을 강조하는 한편, 그 의미를 천변에 떠도는 ‘소문’이 육화된 것으로 해석하고자 했다. 즉, 「천변풍경」의 서술자는 천변에 존재하는 인물들의 목소리가 하나의 목소리로 집단화된 양상을 띠며 공동체의 대변자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s to elucidate the aspect of the cinematic technic applied in the scenery of a riverside written by Park, Tae-Won. Most existing studies, based on the mechanical ability of a camera for the representation, have accentuated the realistic feature of the text, and applied the technics of the silent movies like a montage or overlap. But, studies emphasizing the visuality of the movie have a limitation. Because they failed to explain aspect of a innumerable voice contained in the scenery of a riverside, sufficiently. This study tries to discuss that Park was the writter who has specific attention for the voice and that point was reflected in the cinematic writing of the scenery of a riverside, while interlinked with the dynamic changes of the medium field which faced the talkie production era. Commonly, the scenery of a riverside has been understood as a text without clear narrative. But, the field of rumor, formed from oral communication among the characters, can be the main principle that provides the proceeding motif to the substory of the text, while visual observation cause a break of the narrative. In addition, the characters showed powerful community spirit, when they shared the ethical judgement for the scandal. In other words, the representation of the voice was just as important writing method as the observation with camara eye in the scenery of a riverside. In other words, the representation of the voice was just as important writing method as the observation with camara eye in the scenery of a riverside. Park showed his interest in the cinematic technic such as the overlap. But it was hard to be the effective method to represent the voice. Because continuity of time must be premised to relay the sound, unlike the identifiable image through the momentary impression. In fact, the cinematic technics in the scenery of a riverside has a close relation with the continuity cutting, editing method of talkie, that make the speaking arranged naturally in the chain of visual information. And the audio-video organism which composed in this way can form the powerful illusion effect. It can be a circumstantial evidence that Many scenes that take the principle of the decoupage like a point of view editing or crossing of the shot and the reverse shot. Meanwhile, a critical narrator of the scenery of a riverside has been understood as a existence that attains the ironic relation with the mechanical representation of the camera. But this study tries to explain the special feature of the narrator in the relation of the talkie which could highlight the feature of narrator who only existed in the voice. The almighty in the 'acousmatique' voice of the 'acousmetre' show itself as a ability of the narrator who can have the more macroscopic 'view-listen point' than characters, and criticize the story of 'chun-byun(riverside)' However, the 'view-listen point' of the narrator stay within the boundary of chun-byun and his criticism never exceed the commonsense point of view. This study emphasis that the narrator of the scenery of a riverside is similar to talkie narrator who stay neither inside nor outside, and tries to read that meaning as a humanized form of rumor in chun-byun. In other words, the narrator of the scenery of a riverside is a collective voice of the characters resided in chun-byun and takes a roll of a spokesperson for the community.

목차

1. 서론 : ‘카메라의 눈’에 대한 몇 가지 오해
2. 천변의 구술 공동체와 소문의 전사(前史/轉寫)
3. 시청각 유기체의 형성과 연속 편집의 리얼리즘
4. ‘아쿠스마티크’한 서술자의 효과와 ‘시-청점’의 지정학
5. 결론 : 영화적 글쓰기의 (불)가능성과 박태원의 지향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광욱(Lee Kwang Ouk). (2014).발성영화 전환기의 매체역학과 「천변풍경」에 나타난 영화적 글쓰기. 구보학보, 11 , 171-218

MLA

이광욱(Lee Kwang Ouk). "발성영화 전환기의 매체역학과 「천변풍경」에 나타난 영화적 글쓰기." 구보학보, 11.(2014): 171-2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