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CPTED 활성화를 위한 범죄영향평가의 법제화 방안

이용수 153

영문명
The Study on the Crime Impact Assessment System for CPTED Implementation: A Comparative Study between South Korea and Australia
발행기관
한국공안행정학회
저자명
박현호(Park Hyeon Ho) 강소영(Kang So Young)
간행물 정보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19권 2호, 78~111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6.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범죄에 대한 사후대응보다는 사전예방을 향한 보다 체계적, 과학적, 기술적 접근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은 점차 많은 정부기관, 국회, 학자, 그리고 산업의 연구, 관심과 투자의 대상이 되어가고 있다. 이에 CPTED 적용의 가장 중요한 초기 단계인 범죄위험성평가(crime risk assessment)에 대하여 국내의 환경영향평가법과 호주의 환경계획평가법을 비교법적 고찰을 통해 국내 실정에 적합하고 실현 가능한 범죄영향평가체계를 분석 및 도출하였다. 종합해보면 첫째, 많은 선진국들이 CPTED 관련 범죄분석과 범죄위험평가의 근거 법규를 갖고 있지만 호주 NSW주의 환경계획평가법이 가장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형태의 범죄영향평가의 법적 뿌리를 마련하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둘째, 국내에도 환경영향평가법이 있으며, 그 평가범위에 사회ㆍ경제환경에 대한 평가가 포함되어 있으나 범죄(안전)라는 사회환경 요소는 누락되어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셋째, 호주 NSW주의 환경계획평가법에 의한 범죄영향평가체계를 기반으로 국내에서도 국민생활안전기본법안에 기초한 별도의 범죄영향평가 제도를 개발할 수 있으며, 최소한 현행 환경영향평가법에 있는 평가 범위를 개정하여 범죄영향평가를 제도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제도화를 통해 범죄영향평가체계가 마련되려면 대통령령, 부령, 한국산업표준 등에 의해 기준과 범위가 구체화되어야 하며, 실제 도시개발과 건축설계 등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구체화된 영향평가의 가이드라인과 매뉴얼 개발이 요구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Rather than reactive approaches proactive approaches to prevent crime in a more systematic,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manner, CPTED is attracting more and more study, interest and investment from public agencies, MPs, academics and security industry in South Korea. In the context, this study elaborated on crime risk assessment as the first stage for CPTED in a comparative study between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Act' in Korea and 'Environmental Planning and Assessment Act' in NSW, Australia. The study found that NSW's 'Environmental Planning and Assessment Act' has one of the most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crime impact assessment for CPTED in the world. Secondly, it was found that based on the NSW's Environmental Planning and Assessment Act we can include a crime impact assessment in the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Act'. Thirdly, a crime impact assessment system can be introduced as the Community Safety Bill can support it. Finally, other relevant legislations and National Standards should specify the process and system of CPTED and also detailed risk assessment checklists and design guidelines/manuals have to be developed so that they can underpin the crime impact assessment law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범죄영향평가의 비교법적 고찰
Ⅳ. 범죄영향평가의 제도화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현호(Park Hyeon Ho),강소영(Kang So Young). (2010).CPTED 활성화를 위한 범죄영향평가의 법제화 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보, 19 (2), 78-111

MLA

박현호(Park Hyeon Ho),강소영(Kang So Young). "CPTED 활성화를 위한 범죄영향평가의 법제화 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보, 19.2(2010): 78-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