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7세기 소설사의 한 局面

이용수 177

영문명
A study on the some aspect of the history of the 17C novels, focusing on the hangulsoseol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송성욱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8권, 241~27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17세기 국문소설 중에서 비교적 길이가 긴 <사씨남정기>ㆍ<구운몽>ㆍ<창선감의록>ㆍ<소현성록>을 대상으로 17세기 국문소설의 전체적인 성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17세기 소설사의 전체 역학 구도를 밝히는 연구의 일환으로 시도된 것이다. 따라서 개별 작품에 대한 세밀한 분석보다는 전체적인 조감에 치중을 하게 되었다. 17세기 소설사의 주된 경향이 통속화에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런데 한문소설과는 달리 국문소설의 통속성으로의 경시는 그것이 지향하는 이념적 성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한문 전기소설에서 문제 삼은 것은 개인과 현실의 문제, 세계의 횡포에 대한 자아의 문제와 같은 것이지 특정한 이념을 전제로 하지는 않았다. 국문소설은 이와는 반대로 애초에 가부장제와 주자주의라는 구체적인 이념을 문제 삼고 출발한다. 그렇기 때문에 작품에서 설정된 초월적 요소와 같은 환상성 혹은 낭만성마저도 단지 서사적 차원에만 머물지 않고 주제적 경향까지 아울러 지니게 된다. 이 점은 전기소설과 비교하여 상당한 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념성의 강화는 필연적으로 그것에 의한 억압과 그것으로부터 탈출하고자 하는 욕망의 양면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때 욕망이라는 것은 절대악으로 규정되는 악인에 의한 욕망과는 구별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욕망의 정체는 남성적 욕망이었다. 따라서 억압과 욕망은 모두 가부장제 이념과 궤를 같이 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가정과 가문을 강조하는 소설은 이 둘을 동시에 다룰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자연히 장편을 지향하게 되었다. <창선감의록>에서는 억압과 욕망의 측면이 각기 다른 다른 인물의 이야기를 통해 펼쳐지지만 결국은 가부장제라는 이념 속에서 한 데 결합되고 있다. 상반되는 것 같지만 사실은 동전의 양면과 같은 요소를 펼쳐서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가부장제 이념을 강조하면 할수록 이념에 의한 억압과 더불어 남성적 욕망이 표출되게 마련이었을 것이다. 결국 이 둘을 같이 다룸으로 해서 자연히 소설은 장편을 지향하게 되었다고 보아야 한다. 17세기에 마련된 장편의 구도는 이후 장편소설 창작의 전범이 되었다. 그러나 이후의 장편소설에서는 남성적 욕망이 감소하는 반면 그것에 대항하고자 하는 여성성이 형상화된다는 점에서 변별점을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was attempted to show the cha of the 17C's Novel written in korean letter(hangulsoseol), focusing on the correlation of novels written in chinese letter(hanmunsoseol). There are so many hangulsoseols in 17C, and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four novels which is , , , . The history of 17C novel shows a trend novel is wrirren in a popular style, by the way the popularization of hangulsoseol have a different meraning from that of hanmunsoseol. The popularization of hangulsoseol have reference to the ideology of 17C, this is the same as a patriarchal system which is established at that time. And then hangulsoseol have a character which is an instrument of propaganda. On the other hand, Hangulsoseol shows an expression of the desire which is not general desire but specific desire. The desire of hangulsoseol is a propensity for the male sex.

목차

Ⅰ. 문제제기
Ⅱ. 통속화의 전반적 경향
Ⅲ. 통속성의 이면
Ⅳ. 억압과 욕망의 동일성
Ⅴ. 장편화와 그 이후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성욱. (2002).17세기 소설사의 한 局面.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8 , 241-270

MLA

송성욱. "17세기 소설사의 한 局面."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8.(2002): 241-2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