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길몽가>를 통해 본 18세기 향촌사족 가사의 한 단면

이용수 66

영문명
One of aspects of Hyangchonsajok(향촌사족) Gasa through <Kilmongka(길몽가)> in the 18th century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안혜진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8권, 211~23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18세기 향촌사족이었던 운암 한석지(芸菴 韓錫地, 1709∼1803)의 <길몽가(吉夢歌)를 대상으로 그 작품 세계와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길몽가>에서 아이들은 꿈 이야기를 끌어오기 위한 현상적 청자로서의 기능이 강화되어 있으며, 시적 화자의 초점이 자기 자신에게만 놓여져 있어 일반적인 교훈가사의 특성에서 많이 벗어나고 있다. 또한 꿈속의 여러 인물들의 시적 화자에 대한 적극적인 긍정은 작가 자신이 추종해왔던 이념을 계속 추구해나갈 수 있는 힘을 마련해주고 있다. 한편 <길몽가>는 유가적 이념이라는 무거운 주제를 작품으로 구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념이 내용을 압도하는 부자연스러움은 보이지 않는다. 그것은 꿈 이야기를 듣는 아이들이라는 시적 장치를 사용하고 인물과 사건을 통해 이야기가 전개되도록 서사성을 강화시켜 이념이 주는 경직성을 완화한 결과이다. <길몽가>에서 나타나는 이념에 대한 강한 추종은 당대 정치적 현실에서 고립된 18세기 향촌사족들의 현실에 대한 내적인 반응을 보여주는 것으로 강호가사를 통해 현실 초월적인 면만 강조되었던 향촌사족 가사의 실상이 보다 다기한 면모를 가지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그리고 당대의 성리학적 이념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선진유학사상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탈성리학적인 성향을 보인다. 이는 조선후기의 이념적 동요를 극단적으로 반영하는 것인 동시에 새로운 사상적 모색하고 있었던 향촌사족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길몽가>가 이념의 경직성을 인물과 사건을 통한 서사성의 강화를 통해 완화시키고 있다는 사실은 후대의 교훈가사와 현실비판가사의 서술방식의 변모 방향을 가늠할 수 있게 한다. 특히 교훈가사의 측면에서 볼때, 후대에 교훈을 전달한다는 명목아래 다른 기능이 훨씬 강화되어 나타나는 작품들의 등장을 엿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essay aims to examine the features of written by Hyangchonsajok(향촌사족), Han Suk-ji(한석지, 1709∼1803) and analyses its meaning connecting with a trend of Hyangchonsajok Gasa in the 18th century. Even though was introduced in the 1960s, there isn't an individual study. shows the difference with a general pattern of Kyohungasa(didactic Gasa, 교훈가사). the poetic narrator focuses depicting himself more than delivering lessons. And he won Mangza(맹자)'s recognition including other famous historical people's one. Mangza(맹자)'s recognition gives him the power to follow his Confucian ideas(유가적 이념) continuously. Eventhoug revealing his Confucian ideas(유가적 이념), we can't find out unnaturalness in it. That's resulted from strengthening narrative. A the poetic narrator tells his message naturally in the form of story in a dream. It evokes interest and relieves a heavy burden of theme of . In conclusion, reflects Hyangchonsajok(향촌사족)'s consciousness to reality in the 18th century. And it shows there were variouse internal responses of Hyangchonsajok(향촌사족) more than we've known so far. The opposit side to Sunglihak(성리학) in tells disturbance Sunglihak(성리학) at that time. Furthermore more strengthened narrative gives directions to variations of coming Kyohungasa(didactic Gasa, 교훈가사).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길몽가>의 실제 작품 세계
Ⅲ. 18세기 향촌사족 가사로서의 〈길몽가〉의 의의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혜진. (2002).<길몽가>를 통해 본 18세기 향촌사족 가사의 한 단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8 , 211-238

MLA

안혜진. "<길몽가>를 통해 본 18세기 향촌사족 가사의 한 단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8.(2002): 211-2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