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玉仙夢』의 구성방식 연구

이용수 37

영문명
A study on the framework of Okseonmong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서경희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7권, 260~289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1.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세기 후반의 독서물인 『옥선몽』은 문학적 성취도를 인정받아 여러 층위로 재생산되어 온 『구운몽』과 같은 기존 작품의 권위에 기대어 그 구조적 틀을 패러디하고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이미 대중적으로 숙지되어 있는 구조를 차용하여 구성상의 안정감을 꾀하고 있다. 그러나 반복적으로 사용된 몽유 구조는 더 이상 참신한 구조물로 인식되지 않고 관습적인 양식으로 받아들여져, 이를 차용한 서사물이 새롭고 현실적이기보다 익숙하고 추상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 또 『옥선몽』은 인물의 각성을 통해 드러나는 인생무상의 결론이 몽유과정의 서사와 긴장감있게 연결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체화되지 않은 채 가시적인 형태로 주제를 드러내게 된다. 『옥선몽』에서 가시적으로 제시된 주제 의식인 허무적 인생관은 작품 내적인 근거에 의해 생산되고 있다기보다 문학적 전통에 기대어 성립되었기 때문에 결국 관념화된 주제의 하나로 받아들여지게 된다. 이처럼 『옥선몽』은 형식적인 면에서나 주제적인 면에서 유형화된 요소를 답습하고 있지만, 여기서 발생하는 작품의 추상적 성격을 구체적 형상으로 대체하고 있다. 허거통의 현실 경험에 밀착되어 있는 몽유 세계를 욕망이 투사된 제 2의 현실 공간으로 설정하여, 그 속에서 역사적 '시간'에 대한 인식을 끊임없이 환기시키고 있으며, 현실 세계에서 이루어지는 제도의 섬세한 면까지 재현하여 가상 공간의 현실성을 더하고 있다. 소설 속의 세계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상화 과정을 거쳐 독자에게 구체적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데, 현란한 묘사나 사실적인 서사에 의해 생생한 전달을 꾀하기도 하지만, 『옥선몽』의 경우는 핍진한 서사에 주안점을 두지 않고, 구체적 시간 속에 제도나 절차를 나열시켜 사건보다 사건이 놓인 상황에 주목하여 작품 속의 공간을 구축하고 있다. 따라서 이완적 서사물인 『옥선몽』이 완성도가 떨어진 작품으로 평가되는 것은 불가한 일이다. 『옥선몽』의 작품 특성은 작가 탕옹의 소설관에서 기인한 것으로 이야기 자체의 기이함과 작가의 박식함이 결합되어 나타나게 된다. 주인물의 생애와 더불어 제시되는 다양한 문장들과 다채로운 제도들은 단지 서사의 완성도를 떨어뜨리는 요소가 아니라, 소설이 갖추어야 하는 하나의 요건으로서 독자의 몰입을 유도하는 서사방식과는 차별적으로 독자들에게 색다른 독서 체험을 선사하는 서사의 한 형태인 것이다.

영문 초록

Okseonmong relies on the authority of an existing work like Guunmong and parodies its structure. This work borrows the popular structure, gaining stability in terms of plot, but the repeatedly used dream structure is no longer recognized as original, instead accepted as a conventional style, becoming abstract. Also, because Okseonmong s subject, a nihilistic life view, is not so much produced by internal factors within the work as it is realized by relying on cultural traditions, it is ultimately accepted as a conceptualized theme. In this way, in the formal aspect and in the thematic aspect, Okseonmong substitutes a specific form for the work's abstract character while following typified elements. The dream world where Heo Geo-tong's actual experiences are reflected, and where his desires are projected, is established as a second reality, and within that world a recognition of historical "time" is constantly evoked, and the systems of the real world are reproduced in detail, giving the imaginary space a greater sense of reality. Okseonmong does not place its main focus on the narration, but builds the space within the work by arranging systems and procedures within a specific time, focusing more on the circumstances around events than events themselves. Within Okseonmong, which has a relaxed character, the strangeness of the story and the author's extensive knowledge are united by the author Tang Ong's view of novels. The various phrases and systems presented along with the life of the main character are not merely elements which make the narrative look incomplete, but one of the necessary conditions a novel must have. The narrative style of Okseonmong can be seen as a form of narrative that offers to the reader an unusual reading experience, distinct from the style of narration that absorbs the reader.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몽유 구조의 거시적 패러디
Ⅲ. 관습적 구조의 추상성 극복
Ⅳ. 몽환적 서사 구성의 독자적 수용과 그 의미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경희. (2001).『玉仙夢』의 구성방식 연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7 , 260-289

MLA

서경희. "『玉仙夢』의 구성방식 연구."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7.(2001): 260-2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