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 도성의 수공업 생산체계

이용수 559

영문명
Handicraft Production System in Capital City Sabi of Baekje Kingdom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Lee Byong ho(李炳鎬)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52집, 81~120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1.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백제의 도성 변천에 따른 수공업 생산체계의 변천에 대해, 사비기를 중심으로 하여 금속공예품과 기와라는 소재를 중심으로 그 전개 양상과 특징을 검토했다. 백제 사비기 도성 내외의 왕궁이나 관청, 사원에서 이루어진 금속공예품의 생산은 관북리 유적이나 정림사지처럼 단기간의 임시적인 공방에서 생산된 1유형과 쌍북리 유적이나 능산리사지와 같이 일정기간 공방이 유지되던 2유형, 왕궁리 유적과 같이 장기간 대규모로 운영되던 3유형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또 기와의 생산은 사원 인근의 전용 가마에서 생산되는 능산리사지의 사례가 있는 반면에 정동리 가마터나 정암리 가마터, 왕진리 가마터와 같이 비교적 대규모로 장기간 운영된 사례가 있다. 금속공예품과 기와라는 재료의 차이는 있지만 전자는 금속기 생산의 1유형과 후자는 2유형과 상통하며, 왕흥사지 가마터는 익산왕궁리 유적의 공방과 유사한 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유형 구분은 임시적으로 단기적인 필요에 의한 관영공방과 일정 규모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운영된 관영공방, 왕실 직속의 궁중 수공업 공방 등으로 대응시켜 볼 수도 있다. 백제 사비기의 중앙행정관서는 국가 행정을 담당하는 외관 10부와 왕실 사무를 담당하는 내관 12부 등 22部司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왕실 직속의 3유형의 궁중 수공업 공방은 내관 12부, 2유형의 관영공방은 외관 10부와 대응시킬 수 있고, 1유형의 경우는 왕릉의 축조와 같은 특수한 수요에 대응한 임시적인 프로젝트팀과 같은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부여 쌍북리에서 발견된 목간의 경우 금속공예품을 생산하던 공방의 운영 실태를 보여주는 자료라 할 수 있고, 익산 연동리 기와 가마터의 사례는 중앙 관영공방의 전문기술이 지방으로 확산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확인시켜 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metal craft works and roof tiles of the Sabi period (538-660) in connection with changes in the handicraft production system associated with the relocation of the capital in the Baekje Kingdom (18 BC-660 AD). During the Sabi period, the production of metal craft works was carried out at workshops located in the royal palace, government buildings and Buddhist temples in the capital. The workshops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Type 1 refers to temporary workshops operat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those found at the Gwanbuk-ri and Jeongnimsa Temple sites; Type 2 refers to workshops oper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uch as those found at the Ssangbuk-ri site and the temple site in Neungsan-ri; and Type 3 indicates workshops opera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such as those found at the Wanggung-ri site. Roof tiles were generally produced at a kiln close to a temple, like that at the temple site in Neungsan-ri, or on a large scale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like those at the kiln sites in Jeongdong-ri, Jeongam-ri, and Wangjin-ri. The roof tiles produced at the Neungsan-ri site appear to correspond to Type 1 of metal craft production sites, while those produced in Jeongdong-ri, Jeongam-ri, and Wangjin-ri correspond to Type 2. Meanwhile, the kiln at the Wangheungsa Temple site displays similarity with the workshops at the site in Wanggung-ri, Iksan. The types of workshops can also be divided as follows: government-run workshops operated temporarily to meet short-term requirements; government-run workshops operated continuously on a given scale; and handicraft workshops run directly by the royal family. During the Sabi Baekje Period, the central government was composed of twenty-two ministries, which include ten outer ministries in charge of state administration and twelve inner ministries responsible for handling matters associated with the royal family. It is presumed that the Type 3 workshops stated in the foregoing were in the charge of the twelve inner ministries while the Type 2 workshops were in charge of the ten outer ministries, and that the Type 1 workshops belonged to a contingency project team that dealt such matters as the construction of a royal tomb. The wooden tablets containing inscriptions in Chinese characters found in Ssangbuk-ri, Buyeo provide some insight on how metal artifact workshops were operated. The location of a roof tile kiln in Yeondongri, Iksan provides evidence that the professional skills used in the central government-operated workshops were disseminated to the provinces.

목차

Ⅰ. 머리말
Ⅱ. 도성 내외 금속공예품의 생산
Ⅲ. 도성 내외 기와의 생산과 유통
Ⅳ.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Lee Byong ho(李炳鎬). (2014).백제 도성의 수공업 생산체계. 역사문화연구, 52 , 81-120

MLA

Lee Byong ho(李炳鎬). "백제 도성의 수공업 생산체계." 역사문화연구, 52.(2014): 81-1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