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아시아 고대 도성 民里의 형성과 전개

이용수 849

영문명
On the Development of Residence District among Ancient Capital of East Asia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박순발(Park Soon barl)(朴淳發)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52집, 3~38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1.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도성은 국가 단계 사회의 중심취락, 즉 최상위 취락을 의미한다. 동아시아를 비롯한 광범위한 지역의 도성들은 성벽을 갖추고 있는데, 그 규모는 국가의 성장과 더불어 점차 확대된다. 도성 규모의 확대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이 도시적 주민의 거주구역인 民里의 성장이다. 따라서 민리의 형성 및 그 전개 과정은 고대 도성 발달 이해에 매우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고대 동아시아 도성들은 宮과 民里의 공간 배치를 기준으로 7개의 類型으로 구분하였다. 1유형은 지배층의 居所로서 宮이 아직 민리와 확연히 구분되지 않는 것이며, 2유형은 궁이 자체의 방어시설을 구비하여 독립된 궁성형태로 등장하는 단계로서 그 주변에 주민 거주역이 모여 있는 邑里형태의 民里가 출현한다. 3유형은 상위층 및 수공장인등 직능집단이 도성 외곽내부에 배치된 것으로서 이른바 內城外郭型 도성을 말한다. 4유형은 궁성이 외곽의 중앙에 위치하던 3유형과 달리 모서리의 한 부분에 치우쳐 독립성이 높아진 형태로서 춘추전국시대에 처음으로 나타난다. 5유형은 秦의 咸陽 도성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다수의 궁성 주변에 민리들이 광범위하게 산재하는 형태이다. 6유형은 曹魏 鄴城에서 비롯된 새로운 유형으로서 단일 궁성이 도성의 북단에 위치하고 그 남쪽에 가로망을 경계로 한 격자상의 민리가 배치된 것으로서 동아시아 고대 도성 민리 구획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7유형은 6유형 외부에 다시 외곽이 부가됨으로써 궁성이 전체 도성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 것으로서 宋 東京城에서 비롯되며, 6유형 이래 지속된 封閉型 민리가 開放型의 坊巷制로 전환된 것이다. 중국 도성 민리의 전개 과정상 중요한 획기는 되는 것은 각각 2ㆍ3ㆍ6ㆍ7유형이로서 각각 早期型ㆍ前期型ㆍ中期型ㆍ後期型 도성이라 할 수 있다. 한반도 고대 도성을 중국 도성 유형과 대비해 보면, 百濟 漢城時期의 도성은 4세기대에 3유형에서 6유형으로 전환된다. 熊津期 도성은 방어성과 민리로 구성된 한성기 지방도시 예와 다르지 않은 것으로서 유사 6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비기는 한반도 고대 도성 가운데 최초로 등장한 전형적인 6유형에 해당된다. 고구려는 集安 國內城이 3유형에 해당되고, 평양의 長安城은 6유형이다. 신라는 최초 月城이 3유형에 해당되지만, 6세기 중ㆍ후엽 월성 외부에 가로망이 개설되면서 6유형으로 전환되었다. 일본은 궁성만 독립된 2유형이 오랜 기간 지속되다가 飛鳥시대 7세기 초 이후 유사 3유형을 거쳐 694년 藤原京의 성립과 더불어 6유형으로 전환된다. 한반도나 일본열도에서 6유형 도성이 등장하는 시점은 정치체별로 다소 차이가 있으나 국가의 성장과 함께 결국 모두 6유형으로 전환되는 배경에는 도성 기능의 확대와 집권력의 증대라는 공통요소가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영문 초록

It is generally understood that East Asia ancient capitals take the form of walled city. With the growing of state expands the size of walled city, because the residence district of commoners, called minli(民里), which is one of the components of capital gradually enlarges. The size of common people's residence area can be viewed as indicator of the level of capital city development on why we focus. It can be classified as seven types on the ancient capital of China which is composed of palace area and minli as follows. First type : palace and minli are not yet articulated ; Second type : palace diverges from minli without wall ; Third type : palace and some part of minli(especially aristocrat and craft man) together position in walled area ; Fourth type : walled palace district departs from minli which also in larger walled area ; Fifth type : is composed multiple palace area without walled minli ; Sixth type : palace settles into the northen end of total capital area with enlarged southward minli which is the epoch making among East Asia capital plan ; Seventh type : the structure of total plan is similar with Sixth type but the position of the palace district central surrounded with minli. In view of the above mentioned China capital city's type can be identified ancient Korea state's capital as followings. Early Backje (百濟) period called Hanseong(漢城) period(AD.250~AD.475) capital initially classified into third type, and lately about 4th century into sixth type. Middle Backje called Ungjin(熊津) period(AD.475~ AD.538) capital into the 'similar sixth type' which composed mountain fortress and minli without city wall. Late Backje called Sabi(泗沘) period(AD.538~AD.660) period into typical sixth type. Koguryo(高句麗) capitals also firstly starts third type as Gukneseong (國內城), finally into sixth type alike Janganseong(長安城). Shilla(新羅) is same with those. But Japanese ancient capital walked some different course with China and Korean cases, which second type consists comparatively long time eventually became into third type in 7th century and finally into sixth type at AD. 694 historically called Hujiwarakyo(藤原京). Summing up the transition of East Asia ancient capital is it understood that the most typical plan of sixth type is not diffused in the course of simple mimic but the result of the state development as like centralized ability of domination on the each state's subjects.

목차

Ⅰ. 序
Ⅱ. 中國 古代 都城의 變遷과 民里
Ⅲ. 韓半島 古代 都城 民里의 成立 過程
Ⅳ. 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순발(Park Soon barl)(朴淳發). (2014).동아시아 고대 도성 民里의 형성과 전개. 역사문화연구, 52 , 3-38

MLA

박순발(Park Soon barl)(朴淳發). "동아시아 고대 도성 民里의 형성과 전개." 역사문화연구, 52.(2014): 3-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