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우담의 하위 갈래별 관념과 의미 해석

이용수 31

영문명
Anaysis of the Concept and Meaning in Sub-types of the Tale of a Traditional Korean Rite to Pray for Rain
발행기관
한국고전연구학회
저자명
노영근(Noh Young Keun)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15권, 273~303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강우량의 극단적인 다과가 빚은 홍수와 가뭄은 인간의 삶을 위협하는 재해 중에서도 그 빈도가 높을 뿐 아니라 일반 민중들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이었다. 이러한 재해를 극복하고 현실의 삶을 영위할 힘을 얻기 위한 민중들의 요구가 서사탄생의 동인임은 불문가지한 일이라 하겠다. 홍수와 가뭄을 서사적으로 극복하는 과정에서 홍수는 신화의 차원에서, 가뭄은 민담의 차원에서 수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홍수는 신 혹은 신적인 존재만이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여겨 선들의 역사로 인식한 반면에 가뭄은 인간의 힘으로 이겨낼 수 있는 것으로 여긴 데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 살핀 기우담은 이러한 인식의 연장에서 세 가지 방향으로 갈래지울 수 있었다. 가뭄의 원인, 대책과 龍神觀이 그것이다. 민담에서 가뭄의 원인은 분명하게 드러나지는 않는다. 그러나 그 원인을 임금의 부덕에 귀속시키는 이야기들이 있었다. 그리고 그 대상은 철종이었다. 민중들은 자신들과 같은 처지였던 철종에게 현실의 어려움을 타개하는 위정자의 모습을 투영시켜 이야기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민중들이 가뭄을 극복하는 방법은 두 가지 방향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하나는 신성한 힘을 갖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대상의 훼손된 신성함을 복원시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신성한 존재 스스로가 자신의 신성함을 유지하게 하는 방법이다. 전지는 제물을 바치거나, 오염된 성역을 정화함으로써 이뤄지고, 후자는 신성공간을 훼손함으로써 이뤄진다. 방향은 다르나 양지는 모두 신성한 존재에게 인간의 현실적 고난을 해결해 주길 청원한다는 점에서 공통된다고 하겠다. 그리고 이러한 관념은 신성한 자연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라 하겠다. 이와 반대되는 인식의 방향이 용신에 대한 관념이다. 용신에 대한 관념은 용이 처녀제불을 받고 승천하는 이야기를 제외하고는 인간에게 제압당히는 용의 형상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용은 인간에 의해 제압당하거나 속임수에 넘어가는 존재가 되고 있다. 나아가 용자가 자신의 운명을 인간에게 의탁하는 형상까지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이야기들에서 자연신격의 접진적인 쇠퇴현상을 볼 수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관념은 소설작품에서도 그대로 수용되어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연신격을 숭앙하던 시유방식이 점차 인간의 힘 또는 불교와 같은 외래신격에 대한 숭앙으로 대치되는 현상은 중세사회에서 근대사회로 사회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었을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용신에 관한 관념은 상당히 후대에 형성된 것이고, 용과 관련한 여러 서사물 역시 비슷한 시기에 형성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기우담 유형의 민담들은 근대로의 이행기 관념을 기반으로 현실적인 문제를 서사적으로 해결하고 있다고 하겠다.

영문 초록

Flood and drought are the most common natural disaster. It happens often and affects our lives directly. Especially to the farmers in old times, these natural disasters are crucial for their farming and living. It is an easy and natural guess that people make narratives representing their whishes to overcome the natural disaster. It is interesting that flood was accepted in myth and drought was accepted in folktale when they use narratives to overcome the natural disasters. This is because people believed flood can only be controlled by god but drought can be controlled by humans. The tale of a traditional Korean Rite to pray for rain composed of three parts; the cause of drought, a countermeasure against drought and the concept of Dragon. It is not clearly shown the cause of drought in most of the folktales. Only a few folktales are telling the cause of drought. In these folktales, they say the cause of drought is because their King has no virtue and the King is Chol-Jong. People project themselves to a shape of governor who was struggled to overcome the disasters, and the governor is Chol-Jong. The way of overcome the drought are in two ways. One way is restoring the damaged divinity of something that had divinity once. The other way is make a setting the divined nature keep their divinity by themselves. For this the former way can achieved offering a sacrifice of cleaning up the holy place. The second way is make dirty the divined nature. The way seems different but both ways are same in the aspect that they are asking a help to divined nature. It can be understood people in old days had positive recognition to the holy natural power. The way of recognition to the dragon is opposite to the recognition to the holy nature. The concept of dragon shown in the folktales are in the shapes of dragon which defeated by humans. In many tales. dragon was defeated or tricked by humans. Moreover. the son of dragon depends on his fate to the humans. It can be understood the power of the natural divinity became decline gradually. These kinds of concept and recognition can be found in the novels. The way of relying to Shamanistic natures was changing to human's ability or foreign divine such as Buddhism. This kind of change happened along with the process of social change from middle age to modern age. If it is true, the concept of dragon formatted in the latter time of middle age and the tales related to this concept formatted in the same period. So the tale of a traditional Korean rite to pray for rain which solves the problems in everyday life with narrative form is based on the concept formatted in transition from middle age to modern.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임금과 가뭄
3. 祈雨 原理
4. 龍神觀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노영근(Noh Young Keun). (2007).기우담의 하위 갈래별 관념과 의미 해석.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5 , 273-303

MLA

노영근(Noh Young Keun). "기우담의 하위 갈래별 관념과 의미 해석."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 15.(2007): 273-3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