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입사 기법을 이용한 장신구의 알레고리에 관한 연구

이용수 264

영문명
A Study on Allegories of Jewelry Using lpsa(lnlay) Technique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김미경(Kim, Mi-Kyung) 정양희(Jung, Yang-Hee)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한국공예논총 제17집 2권, 103~125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입사(入絲)란 금속기물 표면에 선이나 면으로 홈을 파내고 여기에 다른 금속을 박아 넣어 색상대비를 통해 문양을 내는 금속공예품 제작 기술의 하나이다. 입사는 음각(陰刻)과 금속선을 감입할 때, 기본단위인 모듈(Modules)로 변형된다고 볼 수 있으며, 반복적이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반복은 단순한 복제가 아니라, 필연적으로 차이성을 강조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반복이며, 차이는 반복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개념이다. 차이를 동반하는 반복은 생성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반복과 차이, 생성은 별개로 떼어서 생각할 수 없이 서로 지지하고 있는 개념이다. 이 반복들이 주는 조형적 효과는 시각적 통일성과 안정감을 높일 수 있고 구성의 견고함을 유도해 낼 수 있다고 보았으며, 이를 시간성의 알레고리라 한다. 알레고리란, 추상적인 개념을 기의(원개념)라 한다면 구상적인 형상은 기표(보조관념)가 되는데 예술 창조의 한 방향성이자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알레고리의 해석을 전제한 연구 작업은 입사기법을 이용한 장신구 디자인 개발의 가능성을 돌아보고, 전통적인 기법에 대한 새로운 발상의 전환을 유도한다. 입사 기법을 이용한 장신구 디자인에 돋을새김, 모꾸메가네(木目金), 조이질, 색박(色簙)처리, 라이노(Rhino) 3D 등 여러 금속 기법들과 접목시켜 다양한 효과를 연구하고, 오동(烏銅), 시부이찌(금1/4), 92.5은, 적동 등 여러 바탕 금속 재료 연구를 통해 현대 장신구 디자인 개발의 가능성을 열어 보고자 하였다. 끼움 입사 기법에서 전통적인 감입 방법은 감입한 후, 입사된 부분을 줄질하여 갈아주고 사포질과 숯으로 표면을 다듬는 공정 과정이 있으나, 변용 입사 기법에서는 감입할 금속선을 일정한 간격으로 정(釘)으로 눌러 주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단축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끼움 입사와 쪼음 입사, 이 두 가지 기법을 함께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좀 더 자유롭고 다양한 문양으로 표현 할 수 있으며, 쪼음 입사의 마지막 단계에서 정(釘)날의 각도 방향에 따라 규칙적인 패턴 형태의 여러 가지 문양으로도 표현 할 수 있는 독특한 질감 표면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현대적인 시각으로 입사기법을 이용한 장신구를 제작하여 작품에 표현된 알레고리를 해석하였다. 입사 기법이 현대 금속 공예사에서의 위치와 중요성이 제고됨과 동시에 전통의 아름다움을 살려 현대와 호흡하며, 현대 장신구에 응용하여 시각적 즐거움과 전통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관람자 개개인의 안목과 감수성을 일깨워 줄 수 있기를 추구했다.

영문 초록

Ipsa (inlay work) is a means of metal craft that makes patterns on a metallic object by cutting grooves and filling them with other metal of contrasting color. Although the term ipsa to describe metal inlay craft is usually confused with another, sangam, the sedays, the former, more traditional term is widely accepted. The act of engraving and filling the metal is the work of ipsa, a basic step of the craft that proceeds repeatedly and continuously. Repetition inevitably means a recreation and distinct re-vision, not a mere duplication, and this distinctness is a core understanding that is possible to repeat. Since repetition accompanied by distinction translates into creation, then repetition, distinction and creation work together to synergize a unified work of art. Such repetition creates a figurative effect that increases visual harmony and stability and induces integrity of composition. It is an allegory of the time. Where an allegory denotes a signifier, the tenor, its figurative form becomes the signified, the vehicle, which indicates a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an attitude of artistic creation. Research on the premise of interpretation of an allegory leads the agency to contemplate the potential in jewelry development by means of ipsa and introduces change of concept with respect to traditional technique. To succeed and further develop the beauty of ipsa, this article aims to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explain the ipsa technique, the personal crafting of jewelry with the technique in modern view and interpreting the allegory in the work. Mountain, tree, flower and wind imagery are intended to express nature, in that nature, the origin of every object, should be "the utmost phase" of beauty. House images represent is a shelter for love and happiness to grow and a place to recharge energy. A gate, being a break in the border separating the inside from the outside, manifests freedom of my imagination and expresses my heart's dreaming. This article also aims to explore the design potential for modern jewelry by firstly researching various effects of diverse traditional metal-craft techniques, including relief, mokume gane(metal layered pattern making), joijil(metal pounding and patching) and colored metal foil process, all of which are to be applied on ipsa, and secondly studying background metallic materials such as odong (dark-corroded brass), 75-silver 25-gold(shibuichi), silver and copper. Traditional insertion ipsa is composed of filling, filing the filled surface and smoothing it again with sandpaper and burnt charcoal, whereas refined ipsa chisels the metal strip at regular intervals which shortens working time. In addition, a refined ipsa technique is capable of more liberated and diverse patterns because it employs both insertion ipsa and chiseling ipsa, creating distinctive surface textures with different but regular patterns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chisel blade at the final phase of chiseling ipsa. This article explores crafted jewelry using ipsa technique in modern view and interpreted the allegorical nature of the work. As the importance of ipsa technique has been highlighted in modern and historical metal-craft history in terms of its position and importance, this article sought to realize the beauty of tradition so as to allow it to breathe in modern air, apply it modern jewelry so as to enjoy visual happiness, and lead people to personally, feel the beauty of tradition and find their understanding and sensibility of ipsa.

목차

Abstract
국문요약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경(Kim, Mi-Kyung),정양희(Jung, Yang-Hee). (2014).입사 기법을 이용한 장신구의 알레고리에 관한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7 (2), 103-125

MLA

김미경(Kim, Mi-Kyung),정양희(Jung, Yang-Hee). "입사 기법을 이용한 장신구의 알레고리에 관한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17.2(2014): 103-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