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느헤 9,6-37에 나타나는 이스라엘 공동체의 정체성에 근거가 되는 율법과 땅에 내재한 신학적 의미

이용수 88

영문명
발행기관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저자명
홍승모
간행물 정보
『누리와 말씀』제34호, 7~40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12.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느헤 9,6-37에 나타나는 참회기도는 유배 이후 이스라엘이 겪었던 종과 같은 굴종의 상황을 회상하고 있다. 여기에는 이스라엘 공동체의 애환과 희망이 뒤섞인 애가적인 참회의 고백이 여실히 드러나고 있다. 참회기도는 하느님을 향한 이스라엘의 불복종에도 불구하고 약속의 땅이 상징하는 하느님의 축복과 자비로운 구원의 연속선상에서 하느님을 향한 간절한 탄원의 기도를 잘 묘사하고 있다. 따라서 유배의 참혹한 상황 속에서 하느님의 구원행위를 올바로 인식한 이스라엘 공동체의 신앙의 증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참회기도의 구조와 그 구조에 내포된 신학적 의미를 보면 전승의 역사 속에서 전달된 여러 신학적 개념들이 저자에 의해 인용되고 언급되어 복합적인 구조로 얽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그 내용과 구조를 살펴보면 신명기계 역사저자 또는 사제계전승에서 파생된 다양한 신학적 개념들이 서로 인용되고 언급되어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참회기도의 저자는 이러한 전승의 내용을 과거의 기억과 현재의 유배 이후 상황 속에서 이스라엘의 정체성을 인지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사용하며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곧 이스라엘 정체성의 근거가 되는 율법과 보상의 표지인 약속의 땅은 하느님의 구원역사의 유형론적인 개념 속에서 하느님과 이스라엘을 연결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통해 하느님에 관한 중요한 신학적 의미를 제시하고 있다. 본문에서는 과거의 기억과 현재의 상황 속에서 이스라엘 공동체의 정체성에 근거가 되는 율법과 구원의 표징인 약속의 땅이 하느님의 심판과 구원을 향한 탄원이라는 구원사의 유형론적인 개념 속에서 어떤 관련성과 신학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를 공시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참회기도는 하느님이 보여주신 구원행위를 거스르는 이스라엘 공동체의 불복종의 역사, 곧 하느님을 섬기지 않는 모든 악행을 기억하면서 하느님을 향한 새로운 방향전환을 제시하고 있다. 방향전환은 이집트 종살이로 다시 돌아가는 반-출애굽(느헤 9,17)의 행위, 곧 땅의 상실이라는 유배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것이다. 이스라엘의 불복종에도 불구하고 율법, 계명, 법규, 규정, 경고(느헤 9,13.14.29.34)가 지향하는 하느님께 돌아가는 참회적 요소는(느헤 9,30-31) 새로운 전환점의 근거로 제시되고 있다. 결국 약속의 땅에 내포된 보상개념(느헤 9,35)과 하느님을 향한 애가적 탄원의 신앙고백(느헤 9,32) 속에서 계시되고 있는 하느님의 거룩하고 자비로운 마음은 결정적이고 본질적인 근거가 되고 있다. 참회기도의 저자는 율법과 땅에 내포된 이런 신학적 의미를 통해 하느님과 당신 백성인 이스라엘 공동체 사이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공동체의 지도자 계층만이 아니라 유배 이후 갈라졌던 온 백성이 죄를 인지하고 고백하는 성찰을 통해 다시 일치와 연대를 이루어야 한다는 사고이다(느헤 9,32). 또 다른 지평은 하느님이 주신 약속의 땅에서 율법의 불복종의 결과로 야기된 다른 뭇 나라 민족들과의 적대적 관계에서 발생하는 하느님의 섭리를 파악해야 한다는 사고이다(느헤 9,30.33). 마지막으로 창조에서 시작한 하느님의 구원역사의 회고를 통해 현재의 상황을 넘어설 수 있는 희망의 표지를 하느님의 자비 안에서 인지했다는 사실이다.

영문 초록

The Confession of the People in Nehemiah 9,6-37 recollect the Israelite slavery situation after the exile. This Confession is mixed with community's joy, sorrow and hope. This Confession clearly reveals their eager petition to God, asks His blessing and mercy those of symbol of land, regardless Israelite disobedience In this point, this Confession may fairly be said that Israelite faith testimony, who recognized of God's salvation correctly in their terrible exile period. It is found that the context and its theological meaning are bounded with compound structure. Those concepts of the living tradition of the church were used and mentioned and mixed together. Deuteronomium and Priest Codex (The Priestly Writer) concepts were quoted mutually and mentioned in here. The writer of this Confession described in detail these transmissions for the purpose of recognizing Israelite identity within the past recollection and after- exile circumstances. The laws are the foundation of Israelite identity. The Promised Land is the token of compensation. Land is the tangible concept of God's salvation. The writer shows important theological meaning about God through the mediator between God and Israel in law and land. These law and land are thought as to typical petition to God's judgment and salvation in redemption idea. Analysis on what kind of theological meaning is implied here and what relationships are there is made in this study. The Confession of the People shows Israelite's disobedience against the salvation that God is shown while remembering their evil deeds, then present new conversion toward God. The conversion is not going back to Egypt slavery which is Anti-Exodus (Neh. 9,17), this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losing land. In spite of Israelite's disobedience, those of conversional concepts that are laws, ordinances, statutes, commandments and obligations (Neh. 9, 13.14.29.34) are presented as to new foundations. Eventually, God's mercy revealed in compensational concept in promised land (Neh. 9,35) and His mercy shown in the petition to God (Neh. 9,32) are decisive and fundamental foundations. The author of this Confession of the People opened new horizon between God and Israelite through these theological meanings in law and land. It is meant that not only managerial level in Community but also all the People who separated after exile should recognize their sins and should confess evil deeds to reunite. That is jointly responsible for each other. (Neh. 9,32) Another angle is to understand Divine Providence happened between hostile relations with other countries derived from disobedience in God's land. (Neh. 9,30.33) Finally, through recollection of God's salvation started from the divine order of Creation, they recognized the token of hope in God's mercy in getting over present condition.

목차

서론
1. 느헤 9,6-37의 "당신(hT'a;)", "그들(~he)", "저희(Wnx.n"a])"의 관계
2. 느헤 9,6-37의 율법과 땅의 관계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승모. (2013).느헤 9,6-37에 나타나는 이스라엘 공동체의 정체성에 근거가 되는 율법과 땅에 내재한 신학적 의미. 누리와 말씀, (34), 7-40

MLA

홍승모. "느헤 9,6-37에 나타나는 이스라엘 공동체의 정체성에 근거가 되는 율법과 땅에 내재한 신학적 의미." 누리와 말씀, .34(2013): 7-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