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티베트 莊園의 특색

이용수 60

영문명
Characteristics of Tibetan Manor: Centering on the 'Pha-jo-Iha-khang(帕觉拉康)' Family
발행기관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저자명
심혁주(Hyuk-Joo Sim)
간행물 정보
『순천향 인문과학논총』29권, 75~103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8.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0세기부터 티베트에서는 封建農奴制가 시작되었고 13세기부터는 전 지역에 보편화되었다. 티베트 봉건농노제의 특징은 莊園의 소유, 즉 귀족이 토지의 장악과 농노의 소유가 그 핵심 내용이다. 1951년 이전, 舊티베트 사회는 官家, 세속 貴族, 불교 사원의 고위라마승 등으로 형성된 3대 영주가 정치, 종교, 경제의 핵심 축을 이루고 있었다. 이들은 티베트 전체 인구의 5%에 밖에 안 되는 소수였지만 티베트의 방대한 토지, 목장, 산림, 산천과 주요 목축을 장악하고 있었다. 그 외에 95%에 해당되는 티베트의 농노는 사실상 3대영주의 관리 속에서 생활을 유지하고 있었다. 티베트의 농노는 크게 '差巴', '堆穷', '朗生'으로 구분되는데 이들은 티베트 전체인구의 90%를 초과하고 있었으며 이중 노예 등급으로 다시 분류되는 낭생은 5%의 인구비율을 보였다. 이들에게는 토지의 소유권이 없었으며 인신의 자유와 혼인의 문제 또한 자율권이 허락되지 않았다. 또한 이들의 이러한 처지와 신분은 대대로 세습되었다. 본문은 상술의 역사적 사실을 주지하면서 전통시대 티베트 경제와 사회 체제의 근간을 이루고 있었던 3대 영주와 장원과의 관계, 장원의 규모와 역할, 장원의 실체를 파악하는데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는 舊티베트 사회의 토지 제도, 즉 장원의 운영 체계와 그 내부적 규율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이 사실상 티베트 봉건농노제도의 실체를 가늠하는 핵심 내용 중에 하나라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티베트 장원과 농노제의 특성을 포괄적으로 설명하고 분석하기에는 티베트 각 지역과 특성의 차이가 현저히 존재하기에 연구의 집중도와 밀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티베트 后藏의 江孜(장쯔)지역에서 가장 큰 장원을 형성하며 티베트 귀족 세계에서 인정받았던 帕覺拉康(파줴라캉)가문의 莊園을 그 전형적인 사례로 들어 설명하였다.

영문 초록

In Tibet, the feudalistic serf system began around the 10th century and dominated all over the country after the 13th century.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system is that the nobility possesses land as well as serfs. Before 1951, the former Tibetan society had seen fundamental three lord classes of government officials, secular aristocrats and high-ranking Lamaist monks who played a core role in politics, religion and economy in the country. Although they were less than 5% of the total population, they had many of the lands forests farms. mountains and rivers along with livestock farming. Besides, serfs, about 95% of the population, had to live their life under the control of those high classes. The Tibetan serf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Chapa', 'Toiyong' and 'Nangsaeng', all accounting for more than 90% of the whole Tibetan population. Especially Nangsaeng, called the slavery class, took 5% of the population and they had no ownership of land and were not allowed for freedom of personal behavior and even marriage and their status tended to pas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main part of the paper, based on such historical facts above, is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three lord classes and manor, the role and size of manor and the truth of it. It is because to understand primarily the heart of the operation system of manor and its internal rules at that time could be actually led to more access to the comprehensive grasp of their feudalistic serf system.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re are a great deal of differences among each region across the country in order to generally explain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f system, which could not satisfy a full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Hence, in this paper, the Pha-jo-Iha-khang family, which had had the largest manor in the region of Zangzi, was referred to as a typical exampl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帕觉拉康(파줴라캉)' 귀족과 莊園
Ⅲ. '라캉' 장원의 구조
Ⅳ. '라캉' 장원의 쇠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혁주(Hyuk-Joo Sim). (2011).티베트 莊園의 특색.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9 , 75-103

MLA

심혁주(Hyuk-Joo Sim). "티베트 莊園의 특색."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9.(2011): 75-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