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자원과 학교 교육성과의 관계 분석

이용수 670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Resources and Educational Outcomes: Focusing on National Achievement Test Scores and Value-added Scores
발행기관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저자명
우명숙(Myung-Suk Woo) 김지하(Ji-Ha Kim)
간행물 정보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2권 제1호, 139~162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교육의 대표적인 성과로 볼 수 있는 학업성취도, 학교향상도와 학교의 교육자원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단위학교의 효율적인 자원 배치 및 운용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자료는 「학교정보공시」와 「국가수준학업성취도」자료를 결합하여 사용하였다. 국어, 영어, 수학과목의 학교평균 학업성취도와 학교향상도를 종속변수로 한 12개의 중다회귀모형 추정 결과, 학생 1인당 교육비와 학교의 주요 정책사업들이 학업성취도와 학교향상도 제고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회귀모형에서 방과후 학교 참여학생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학업성취도와 학교 향상도가 높아졌고자율학교 2년차에 해당하는 학교는 자율학교를 운영하지 않는 학교에 비해 전체 회귀모형에서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었다. 방과후 학교의 긍정적인 영향력은 선행연구들에서 나타났던 방과후 학교 활성화의 필요성을 더욱 공고히 하는 것이며, 자율학교의 효과에 대해서는 자율학교의 유형구분을 통한 보다 정교한 분석이 요구된다. 수준별 수업의 효과는 과목과 종속변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고 영어교육 프로그램 사업 2년차 학교는 사업을 운영하지 않는 학교에 비해 영어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수익자부담경비를 포함한 교육비는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수익자부담경비를 제외한 교육비는 유의미하지 않거나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자부담경비를 포함한 총교육비만이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결과는 학교의 사회경제적 여건에 따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직ㆍ간접적인 교육활동의 범위와 내용에 제약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Achievement Test scores and value-added scores as representative educational outcomes and educational resources with policy implications on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s and management. The data from School Information Site and National Achievement Test scores were merged to analyze. The study used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school mean test scores and value-added scores of Korean, English, and Math and twelve multiple regression models. The result found that the coefficients of per pupil spending and some educational programs were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National Achievement Test scores and value-added scores. In most regression models, as the proportion of students attending after school programs increased and schools operated autonomous programs for two years, the mean test scores and value-added scores of schools rose. The positive effect of after school programs were consistent with some previous studies. The effect of schools with autonomous programs needs to analyze elaborately according to the types of autonomous programs in further studies. The coefficient of tracking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some exceptions. The effect of English programs were positive,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Educational coefficient of per pupil spending including parents' payments such as after school programs, school activities, and lunches were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achievement test scores, but that of spending excluding parents' payments were not positive with some negative effects. The findings implied that schools might have limitations of the range and contents in educational programs and activities depending on school socio economic status.

목차

국문요약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우명숙(Myung-Suk Woo),김지하(Ji-Ha Kim). (2013).학교자원과 학교 교육성과의 관계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2 (1), 139-162

MLA

우명숙(Myung-Suk Woo),김지하(Ji-Ha Kim). "학교자원과 학교 교육성과의 관계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2.1(2013): 139-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