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취업성과 분석

이용수 2273

영문명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ies' Employment Support Programs on Employment Status
발행기관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저자명
신혜숙(Shin, Hye Sook) 남수경(Nam, Soo-Kyong) 민병철(Min, Byeong Cheol)
간행물 정보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2권 제1호, 211~235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다양한 취업지원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규직 또는 비정규직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의 취업률 향상과 취업의 질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9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2009)의 124개교 졸업자 6,817명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 및 도움 여부가 정규직 및 비정규직 취업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일반화위계선형모형(HGLM)을 적용하였다. 취업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도움 받은 학생 및 소속 대학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여학생, 자격증 3개 이상 소유 학생, 해외연수나 인턴, 직업교육 훈련 경험이 있는 학생이, 그리고 사립대학, 수도권 소재 대학 학생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가구소득, 학점, 장학금 수혜율 등이 높을수록 취업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비율이 높았다. 취업지원 프로그램 목적을 취업마인드 향상과 취업역량 강화로 구분했을 때, 프로그램 참여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고려하고 나서도, 취업 역량 강화 프로그램들이 전반적으로 대학생의 취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장체험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도움을 받은 경우, 학생 및 대학변수의 영향을 고려한 후에도 정규직 및 비정규직 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한편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내실 있게 운영하지 못하여 학생들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경우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경우보다도 학생들의 취업 성과에 부정적인 효과를 유발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므로 대학별로 실시하는 취업지원 프로그램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계획되고, 취업마인드 향상과 취업역량 강화 프로그램이 일정 기간 지속적으로 실시되어 학생들의 취업 준비과정에서 취업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설계, 운영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universities' employment support programs on employment status. Data from the 2009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and multilevel analysis(individual and university level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is study first categorized universities' career-related program into career motivation program(CMP), career skill development program(CKDP). Key explanatory variable was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each type of program and if participated, how helpful it was. Dependent variable was actual employment status (tenured, non-tenured and non employment). Female students, students with 3 or more licenses,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f study abroad programs, internship programs, or job-training programs, and students attending private universities or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tended to participate various employment support programs and show satisfaction on the programs. Next, between CMP and CKDP, CKDP turned out to be the most effective one; those who participated in CKDP, and especially reported that the programs were helpful had higher probability of being employed on tenure track. Finally, students who attended but were not satisfied with the programs had little or even negative opportunity to be employed. This findings suggest that the key factor of university's employment support program lies in its quality, and more focus should be paid on polic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혜숙(Shin, Hye Sook),남수경(Nam, Soo-Kyong),민병철(Min, Byeong Cheol). (2013).대학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취업성과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2 (1), 211-235

MLA

신혜숙(Shin, Hye Sook),남수경(Nam, Soo-Kyong),민병철(Min, Byeong Cheol). "대학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취업성과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2.1(2013): 211-2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