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강의평가 응답분석을 통한 강의평가도구 개선방안

이용수 1523

영문명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 Student Evaluation Tool Through the Analysis of Response of Student Evaluation -Focus on 'D' University Student Evaluation Case-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하오선(Ha, Ohsun) 정민호(Jung, Minho)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2권 제3호, 273~294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8.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강의개선이라는 강의평가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학생들의 성실한 답변을 유도할 수 있는 강의평가도구 개선방안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응답태도, D대학 2011년부터 2012년까지의 강의평가 자료를 이용하여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생들은 강의평가를 객관적 입장에서 하고 있으며, 충분히 읽고 신중하게 평가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둘째, 강의평가 결과자료 분석결과, 전체문항의 일관적 응답비율은 54.81%-62%, 강의평가 영역별 일관적 응답비율은 64.42-86.69%로 나타나 영역별 일관적 응답은 전체문항(17개 문항)에 대한 일관적 응답경향보다 20-30%까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강의평가 문항을 축소하는 방향에 대한 추가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교수를 상대로 현 강의평가 문항별 중요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4문항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추출된 4개 문항을 이용한 강의평가 결과값과 17개 문항을 이용한 강의평가 결과값을 비교한 결과, 평균점수 차이는 0.026-0.036점 정도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강의평가 문항 수 축소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강의평가도구 개선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iscuss an improvement of student evaluation for enhancing lectures and promoting sincere responses from students. For this purpose, students' response attitudes were analyzed through a survey and their response tendencies were analyzed using student evaluation result data from 2011 to 2012 in D University. The results highlighted several areas. Firstly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evaluated lectures carefully and objectively after reading evaluation questions fully. Secondly, the analysis of student evaluation data showed that the consistent ratio of response to total questions was 54.81% to 62% and the consistent response ratio of each dimension of student evaluation was 64.42% to 86.69%, which means the consistent response tendency of each dimension was 20% to 30% higher than the consistent response tendency of the total questions (17 questions).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was thought that an additional discussion on how to reduce student evaluation questions was needed, so recognitions of professors about the importance of each student evaluation question were examined and four questions were extracted. Then, when comparing the result value of student evaluation consisting of the extracted four questions to the result value of evaluations consisting of seventeen questions, the mean score was nearly 0.026-0.036 an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conclusion, this finding would offer an implication regarding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student evaluation questions and be used as a reference for improvement of student evaluation.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오선(Ha, Ohsun),정민호(Jung, Minho). (2014).강의평가 응답분석을 통한 강의평가도구 개선방안. 열린교육연구, 22 (3), 273-294

MLA

하오선(Ha, Ohsun),정민호(Jung, Minho). "강의평가 응답분석을 통한 강의평가도구 개선방안." 열린교육연구, 22.3(2014): 273-2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