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령과 성별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차이분석

이용수 2266

영문명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A Comparison by Age and Gender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김미령(Kim, Meeryoung)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32권 1호, 145~161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3.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고령자와 고령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파악 및 성별에 따른 비교를 통하여 다양한 삶의 질 구성 요소 및 영향 정도를 파악하고 차이점을 분석하여 성공적 노후를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 3차 자료(2009년)를 사용하였고 연구대상은 남성고령자, 여성고령자, 남성중고령자, 여성중고령자 네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사용된 샘플의 크기는 6849명이다. 삶의 질 구성요소 비교를 위하여는 카이자승검증과 ANOVA가 사용되었고 삶의 질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네 집단 중 여성고령자는 신체적, 심리적, 경제적 삶의 질 등이 가장 열악하게 나타난 반면 남성중고령자는 삶의 질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 및 결과에 의한 제언은 첫째, 기대수명의 증가와 성별에 따른 평균수명의 차이로 고령화사회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여성노인의 삶의 질이 가장 열악하므로 여러 방면에서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노후대책은 네 집단 모두 상당히 열악하여 머지않아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우리나라의 노후대책의 심각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셋째, 여가활동만족은 모든 집단의 삶의 질에 가장 높은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중고령자의 은퇴시작과 고령자의 은퇴 후 늘어난 여유시간의 활용을 통한 만족감 증진이 필요하다. 넷째, 직장유무와 노후준비유무에 따라 삶의 질의 영향에 차이가 있는 것은 남성고령자 집단이 유일하며 기대수명의 증가와 예전의 노년기보다 비교적 건강한 노년기를 보내고 있는 현대의 고령자를 위한 일자리 창출이 시급한 과제임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compar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by age and gender and to suggest th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successful aging. The third wave of Korean Panel of Retirement and Income Study was used.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was 6,849 and it consisted of four groups: middle aged men and women and older men and women. As for the data analysis methods, ANOVAs were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within the groups. If the different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sher LSDs were used for post-hoc tests.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to check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older women were the worst group in regards to the quality of life such as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conomic aspects. On the other hand, the best group for quality of life were middle aged men.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since the quality of life for older women were among the worst of the four groups, the life style of older women should improve due to women's longer life expectancy than men. Secondly, the preparation for older life was very poor for all groups, which is an issue. Thirdly, since the satisfaction of leisur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the four groups, it is important for them to be satisfied with their surplus times. Finally, job and preparation were important factors for older men. Older men who are still healthy can expect to live longer than previous older adults. However, due to the lack of employment among older adults, it is an issue. Therefore, creating jobs for older adults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령(Kim, Meeryoung). (2012).연령과 성별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차이분석. 한국노년학, 32 (1), 145-161

MLA

김미령(Kim, Meeryoung). "연령과 성별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차이분석." 한국노년학, 32.1(2012): 145-1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