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문학독본과 문학교육

이용수 395

영문명
Literary Readers and Literary Education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Study on Literary Readers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Ⅱ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이순욱(Lee, Soon-Wook)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66집, 361~391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4.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두루 알다시피 문학독본은 과거와 현재의 대표 작품을 수록하고 있다.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문학독본은 정전 형성 논리를 확인할 수 있는 주요한 매체 가운데 하나다. 편집자의 이념적 성향과 문학적 관점, 이를 뒷받침하는 문학사회의 이데올로기, 사회 정치적 상황, 출판 매체자본과 교육제도 동에 따라 수록 작가와 내용 구성에서 일정한 차이를 노정한다. 이 글은 한국전쟁기에 발간된 19종의 문학독본의 성격과 특성을 개관하고, 『조선현대시선』을 중심으로 문학독본의 특이성과 문학교육의 관련성을 해명하고자 했다. 한국전쟁기 문학독본은 학교현장에서 국어과 부독본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발간되었을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 특정 이념이나 지식을 알기 쉽게 전달할 목적으로 출간되었다. 하지만 교과서에 비해 애국주의와 국가주의적 시선은 잃게 드리워져 있었다. 그런데도 문단재면의 논리를 반영하여 학생들에게 특정한 문학 지식과 교양을 전달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훈적 성격 또한 지니고 있다. 중등학교 '국어 참고용' 혹은 '중등국어 부독본', '일반남녀 중학교 교재용', "고둥학교 국어 부독본"으로 사용하기 위해 발간된 문학독본이 바로 그것이다. 『중둥문예독본』, 『문학독본』, 『중동문학독본』, 『여학생문학독본』, 『중학생 문예독본』, 『고동 문예독본』, 『현대문예독본』이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문학정전은 문학 내적요소와 사회 정치적 상황과 문학사회의 이데올로기 동의 외적 요소가 복잡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해석과 선택과정의 결과로 볼 수 있다. 그런 까닭에 이러한 문학독본은 대체로 단정 수립 이후 국가이데올로기와 문학사회 재편의 결과를 반영한 문학정전을 구축하고 있었다. 따라서 수록 작가나 작품이 근대문학사를 재편하고 체계화한 문협정통파의 이데올로기를 반영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이다. 반면, 대학 교재로 사용된 『조선현대시선』은 편집 원칙과 수록 대상에서 중고등 문학독본과는 일정한 차이점 을 지니고 있었다. 단정 수립 이 후 문학 정전의 형성이 이데올로기적 요청과 필연적인 관련성을 지닌다고 볼 때, 특히 『조선현대시선』의 경우에는 월북, 재북, 입북시인을 수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분히 정치적이라 할 만하다. 비록 학회의 회원들에게 손에 넣기 어려운 시들을 소개하는 데 목적을 두었고 유인본으로 간행되었다 하더라도, 단정 수립 이후 작동된 정전 형성의 논리를 여지없이 허물어뜨리고 있었다. 이는 서정주의 『현대조선명시선』이나 임학수의 『시집』을 통해 에서 구축된 근대 시문학 정전텍스트와는 확연히 구분되는 자리다. 당대의 정치적 이념과 문학 재편 결과를 배제함으로써 온전한 근대시문학사를 구축하고자 한 노력의 산물로 읽힌다.

영문 초록

Literary readers are known to feature the past and contemporary literary works. Just like textbooks, literary readers are one of the important media to find out the logic behind the canon formation. They revealed a distinct difference in the selection of writers and contents according to editor's ideological tendency and literary perspective, the ideology supporting the literary circles, sociopolitical situation, publishing media capital and educational system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19 literary readers published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and shedding a light on the distinctive features of literary readers and their connection with literature education focusing on 『Joseon contemporary Anthology』 During the Korean War peri여, literary readers were published not only as a supplementary reader for Korean Language at school but also as a medium to easily transmit knowledge or specific ideology to the public. Compared to textbooks, however, the patriotic and nationalistic views were less pervasive. In a way, they were like the troop information and education as they delivered specific knowledge and liberal arts to students based on the logic for the literary circles realignment. Literary readers in this sense include 'Reference for Korean Textbook' for middle school or 'Supplementary Reader for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 'Textbook for Boys and Girls Middle Schools' or 'Supplementary Reader for High School Korean.' Cases in point are 『Middle School Literary Reader』, 『Literary Reader』, 『Middle School Literary Reader』, 『Girls' Literary Reader』, 『Middle School Students' Literary Reader』, 『High School Literary Selections』, 『Contemporary Literary Selections』. In general, literary canons can be seen as an outcome of interpretation and selection in the process of complicated interaction between literary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conditions including socipolitical situation and ideologies of the literary circles. These literary readers tend to form the literary canon that reflected the ideology chose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independent Korean government and the realignment of the literary circles.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the selected writers and literary works mirrored the ideology of the orthodox faction of the Korean Literary Association which restructured and systemized the modem literary history. On the other hand, 『Joseon Contemporary Poetry Anthology』which were used as college textbooks displayed some differences from liter따y readers for middle and high schools in terms of editing principles and selection of works. Given that the canon formatio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independent Korean government represent어 ideological requests and inevitable relevance, it is fair to say that 『Joseon Contemporary Poetry Anthology』was particularly political as it contains literary works of poets who defected to or stayed in North Korea. Even though its purpose was to introduce poems that were hard to find at the time to the members of the society as printed materials, it defied the dominant logic behind the canon formation at the time. In other words,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modem poetry canon texts established by Seo Jeong-ju's 『Contemporary Joseon Poetry Anthology』or Im Hak-su's 『Collection of Poems』.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product of efforts to write a complete literary history of modem poetry by excluding any political ideologies or outcomes from the literary circles realignment.

목차

국문초록
Ⅰ. 들머리
Ⅱ. 한국전쟁기 문학독본의 현황과 성격
Ⅲ. 『조선현대시선』의 성격과 의미
Ⅳ. 마무리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순욱(Lee, Soon-Wook). (2014).한국전쟁기 문학독본과 문학교육. 한국문학논총, 66 , 361-391

MLA

이순욱(Lee, Soon-Wook). "한국전쟁기 문학독본과 문학교육." 한국문학논총, 66.(2014): 361-3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