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들불』에 나타난 서발턴 저항 양상 연구

이용수 154

영문명
A Study on Aspects of Resistance of Subaltern in ≪Bush Fire≫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김희숙(Kim, Hee-Suk)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66집, 267~304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4.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들불』에 나타난 서발턴의 저항 Ocf상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는 탈식민적 측면에서 『들불』을 다시 보고자 함이다. 『들불』에 나타난 서발턴(subaltern)들은 외세와 지배권력에 저항한다. 그리고 이들은 저항을 거둡할수록 주체화되어 간다. 『들불』의 서발턴의 저항은 봉기로 나타난다. 그리고 봉기는 일정한 패러다임을 갖는다. 첫 번째로 봉기의 부정의 대상은 양반과 관료를 중심으로 하는 지배계급과, 일본과 기독교로 대표되는 외세이다. 두 번째로 봉기는 범죄와 구분하기 어려운 모호성을 지닌다. 둘은 동기, 저항 대상, 성격 동에 의해 구분된다. 세 번째로 봉기의 양상은 상의, 계획, 집회, 공격 동으로 진행된다. 『들불』에 형상화된 여진민란, 고부민란, 무장관아습격, 전주성 함락 등 네 봉기 모두 이 같은 양상으로 진행된다. 네 번째로, 봉기의 연대는 모방으로 이루어지는 추상적 연대와 결속으로 이루어지는 구체적 연대가 있다. 다섯 번째로 봉기는 발화된 언설을 중심으로 전파된다. 연설, 소문 동은 대표적인 발화된 언설이라 할 수 있다. 여섯 번째로, 봉기는 영토성을 지니는데 앞의 두 몽기는 지역적 경계를 넘지 못하나, 뒤의 두 봉기는 영토성을 넘어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resistance of Subaltern in ≪Bush Fire>. In particular, it aims to reinterpret ≪Bush Fire≫ from the perspective of decolonization. Subaltern in ≪Bush Fire≫ resists against the foreign governance and the ruling power. Subaltern became more self-reliable(subjectification) as resistance continued. Subaltern's resistance is expressed by uprising. Uprising is featured with certain kinds of paradigms. First, the uprising is against the ruling power that consists of yangban (aristocrat) and high officials, and the foreign governance represented by Japanese rule and Christianity. Secondly, the uprising has ambiguous features and is hard to differentiate from the crime. However, the uprising is contrasted from crime in terms of motivation, the nature and objects of resistance, characteristics, etc. Thirdly, modality of uprising is evolved from consultation, planning, gathering, raid. Yeojin civil riots, Gobu civil riot, Mujang government building raid, fall of Jeonju fortress are examples of the progress of this modality. Fourthly, solidarity of uprising was divided into abstract alliance which leads to reproduction, and concrete alliance that leads to unity. Fourthly, uprising is propagated by the discourse that was spoken. Speech and hearsay is the representative form of the u따red discourse. Lastly, uprising is characterized with territoriality, and the two former uprisings were limited to geographical boundaries, whereas the two latter was beyond territoriality.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서발턴의 개념
Ⅲ. 『들불』에 나타난 서발턴 저항 : 봉기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숙(Kim, Hee-Suk). (2014).『들불』에 나타난 서발턴 저항 양상 연구. 한국문학논총, 66 , 267-304

MLA

김희숙(Kim, Hee-Suk). "『들불』에 나타난 서발턴 저항 양상 연구." 한국문학논총, 66.(2014): 267-3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