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적 유사성과 음운적 유사성이 한글 단어 재인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880
- 영문명
- Effects of Orthographic and Phonological Similarity on Hangul Word Recognition : Proces sing Difference between a Control Subject and an Anomic Aphasic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동휘(Dung hye Kim) 김가영(Kay oung Kim) 편성범(Sung bom Pyun) 이홍재(Hongjae Lee) 남기춘(Kichun Na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5권 제1호, 33~54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10.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명칭실어증(anomic aphasia) 환자가 시각적으로 제시된 단어 자극에 대해 어휘 접근하는 동안 어떤 종류의 정보처리가 진행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 1에서는 가짜 동음이의어(pseudo- homophone) 조건, 앞 음절
동일 비단어 조건, 뒤 음절 동일 비단어 조건, 무관련 비단어 조건 등의 점화 유형과 SOA (Stimulus Onset Asynchony)에 따른 점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명칭실어증 환자도 정상인처럼 점화 문자열과 목표 단어간의 형태적 유사성이 촉진적 형태 점화 효과(facilitatory form priming effect)를 일으켰다. 실험 2는 형태 점화 효과의 원인이 시각적 유사성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음운적 유사성에 의한 것인지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는데, 명칭실어증 환자는 시각적 유사성보다는 음운적 유사성에 의한 형태적 점화 효과를 더 크게 나타냈다. 실험 3에서는 하위 어휘 단위로의 분석이 일어나고 있는 것을 입증하는 형태 점화 효과가 어휘 접근 시에 발생하는가 아니면 어휘 접근 이전 단계에서 발생하는가를 알아보고자 점화 문자열로 비단어 대신에 단어를 사용하였다. 실험 3의 결과는 명칭실어증 환자의 경우에 비단어 형태 점화 조건에서처럼 여전히 촉진적 점화 효과가 나타나서, 관련 없는 어휘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키지 못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gain a better under standing of the processes involved in the lexical access for the orthographic stimulus in an anomic aphasic. Experiment 1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priming effect along the pattern of the prime and the stimulus onset asynchrony (SOA). T he Experiment 1 revealed facilitatory form priming effect on the orthographically similar words in both the control subject and the anomic aphasic. Experiment 2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facilitatory form priming effect was cau sed by the orthographic or the phonological similarity between the prime and target words. Experiment 2 showed that the facilitatory form priming effect 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orthographic and the phonological similarities in the normal control group, but the facilitatory form priming effect s by the phonological prime was stronger than by the orthographic prime in the anomic aphasic. These finding s were quite supportive of the phonological proces sing for lexical acces s in the anomic aphasic. In Experiment 3, we attempted to evaluate whether the form priming effect was activated in the lexical access or in the pre- lexical stage. In the control subject , the inhibitory form priming effect was obtained. But the facilitatory form priming effect was shown in the anomic aphasic. Experiment 3 revealed that the anomic aphasic did not effectively inhibit the activated priming words in the lexical access. T he result s of Experiment s 1, 2, 3
suggest that the anomic aphasic recognize Hangul words via the phonological recoding route in the pre- lexical processing and the anomic aphasic has a problem in inhibiting the competing lexical candidates in the mental lexicon.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실험 1
Ⅲ. 실험 2
Ⅳ. 실험 3
Ⅴ. 종합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삭제] 한국어 구문 중의성 해결과정
- 상보적 교수가 읽기 이해력과 읽기 전략 사용 능력에 미치는 효과
- 한국어 구문 중의성 해결과정
- 한국 노인성 난청의 청각장애지수 (KHHIE)에 관한 검사
- 한국 말더듬 성인에 대한 고정관념 연구
- [삭제] 시각적 유사성과 음운적 유사성이 한글 단어 재인에 미치는 영향
- 특수교육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가족 참여를 위한 지원 및 중재 방안 고찰
- 보완.대체의사소통 사용자의 언어발달
- 시각적 유사성과 음운적 유사성이 한글 단어 재인에 미치는 영향
- 과대비성에 대한 비음도와 비음치의 상관관계
-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척도(PRES)의 개발
- Acoustic Evaluation of Noise Reduction in a Hearing Aid
- 고등학생의 이어폰 사용실태 및 청력수준 조사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